# fixed
[24] 05/09 자바스크립트 수업
포지션 position: relative, absolute, fixed; 지정된 태그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스타일 z - index : 뒤에 적힌 숫자의 크기에 따라 z축(높이)를 지정함(크기순) fixed : 박스를 지정한 위치에 고정함 absolute : 박스를 부모의 크기 내에서 지정된 위치로 옮김 *absolute를 쓸땐 부모에 포지션 relat...

Global BottomSheet 난관 극복기 Part 1. - CSS
회사에서 기존에 바텀시트를 일일이 컴포넌트를 만들어야 해서 너무나 귀찮고 관리하기가 어려웠다.그래서 이번 리팩토링에서 글로벌 바텀시트를 새로 만들어 관리하기로 하였다.하지만 생각지 못한 문제들에 부딛혔는데 그 중 하나가 css 관련 문제였다.원래 보여주고 싶은 바텀시트

Position: 위치속성
01 position: > selector{position: static / relative / absolute / fixed; } 02 static position 속성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지정된다. top, bottom, left, right 모든 좌표가
면접 스터디 - 4일차
HTTP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어입니다. hypertext는 웹페이지를 연결하는 링크를 뜻합니다. transfer는 전화 같은 것을 연결하다는 의미인데 인터넷의 경우 특정 페이지를 의미합니다. protocol은 절차를 뜻하는데 인터넷
position 속성
position 엘리먼트의 위치를 컨트롤 할 수 있다. position 속성은 상속되지 않는다. position의 기본 속성은 static 이다. 속성 종류 : 문서 흐름에 맞춘 기본 위치 : 해당 요소의 현재 기본 위치 : 지정한 기준점을 기준으로 절대 위치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fixed된 헤더 아래부터 게시물 보이게 하기(feat: Spacer)
fixed를 사용하면 스크롤을 내려도 화면 상 고정한 곳에 위치다른 게시물을 가릴 수 있음Header의 children으로 Wrapper가 있는데 높이가 4remHeaderBlock이 끝나고 존재하는 공간 창출 컴포넌트Header를 넣고 그 아래 게시물을 작성했다.He
CSS D01
Casacading Style SheetsHTML 태그에 옷(=디자인)을 입혀주는 기법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세세한 스타일 지정의 필요를 줄여준다.CSS는 HTML문서 내의 어느 위치에나 올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head 태그 안에 위치한다.CSS코드

230213 팀프로젝트 5
으아아오늘은 힘냈다...ui가 변경된 부분이 flex가 아닌 grid로 나누는게 편한 디자인이라서 좀 걱정이긴하지만... 14일에 댓글 기능과 함께 찾아보기로 했다.아마 사이드바처럼 나누는 느낌으로 한다면 좀 괜찮지 않을까 싶긴한데...자신은 없다...ㅎㅜㅜ그래도 데드

[Tableau] Fixed를 활용한 금액에 따른 색상 설정
년월에 해당하는 세그먼트의 수익을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에 따라 색상의 범위를 만드는 예시Fixed 함수를 사용하여 세그먼트의 항목별로 금액에 따른 범위를 설정해주면 위의 이미지와 같이 설정 가능하다.
[CSS] 포지셔닝 2-9
position 속성 position 속성은 요소들이 화면에 어떻게 배치될지를 지정한다. 특이사항으로는, 이 속성은 자식 요소에게 대물림되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static static은 기본값으로, 전적으로 페이지의 흐름을 따르며 top, bottom, left,
자주 사용하는 CSS 스킬
정렬, 요소 배치, 등 웹 화면을 그릴 때 자주 사용하는 CSS 기법들을 정리해보았다.특정 요소 내 정가운데 정렬화면 가운데 정렬내부 요소 크기 조정div 박스 내에 있는 요소를 정가운데에 정렬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고정된 크기의 모달이나 배경을 화면 정 가운데 위치시

Front-end 국비지원 #042일
결과HTMLSCSS모바일 720px 사이즈로 메뉴바를 먼저 제작하였다. left 100%를 벗어난 영역에서 나타나는 효과를 만들기 위해 position: fixed; , display: none; , left: -100% 를 적용한다. left: -100% 로 나간 모
[CSS] Position - relative, absolute, fixed (2)
그렇다면, 부모의 속성에 property "position"이 있으면 어떻게 될까?Ans : 부모 영역을 기준으로 움직인다. 예시다른 이름의 두 가지 selector(big-box, small-box)가 있다. big-box가 small-box를 감싸고 있다. 1)다음

[CSS] Position - relative, absolute, fixed (1)
CSS에서 "Position (:relative, absolute, fixed)"이라는 property를 사용하면, top/right/bottom/left 속성을 사용할 수 있다.ANZI님께서 position에 대해 잘 설명해주셨다. 링크 참고(https://

Front-end 국비지원 #009일
CSS Background fixed (백그라운드 고정) > background-attachment: scroll , fixed | local , initial , inherit scroll : 선택한 요소와 같이 움직임 fixed : 고정 local : 선택한 요소와

position 속성 - relative, absolute, fixed
position 속성은 웹 문서 안 요소들을 어떻게 배치할 지를 정하는 속성이다.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면 텍스트나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로 배치할 수 있고 어떤 방식으로 놓을 지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본값으로 요소들이 HTML에 작성된 순서 그대로 브라우저 화

Positiont 속성 - relative, absolute, fixed를 알아보자.
position 속성은 웹 문서 안 요소로를 어떻게 배치할지 정하는 속성입니다. position 속성을 이용하면 텍스트 및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로 배치할수 있고 어디다가 놓을지 결정을 할수 있습니다.

포지션
개체를 감싸는 태그를 사용하면 그 개체에 css로 효과를 줄수있다.ex) div,p,a,span이 태그들은 각각의 성질이 다른데inline과 block으로 나뉜다.block은 화면에서 자기가 차지하는 줄만큼을 전부 영역으로 가진다.ex)(div)inline은 자신의 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