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v

React에서 S3 Bucket에 이미지 올리고 불러오기 (ft. AWS)
이번 프로젝트에서 이미지 관리를 프론트엔드쪽에서 관리하기로 했다!회사별로 이미지 DB 관리 하는 방식이 다 다른데 이번에는 프론트에서 관리를 하고 data.location (url 형식)만 백으로 전달해주기로 했다.AWS에서 S3 Bucket에 사진을 넣으려면 reac

env 파일에 대하여
환경변수들 관리해주는 .env파일 따로 만들어주면, api key등 개인정보를 직접적으로 노출하지 않고 파일 관리가 가능 합니다.
Pyenv 사용하기
.zshrc에 아래 내용을 추가합니다.아래 커맨드를 이용해 설치가능한 버전을 확인합니다. cpython은 3.10.4 처럼 버전만 표시됩니다. 버전을 확인 후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여 원하는 버전을 다운 받습니다.사용하지 않는 버전은 아래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습니다.쉘
React .env 사용
.env: 기본.env.local: test환경 외에 모든 환경에서 로드됨.env.development: 개발환경 /npm start로 실행할 떄.env.test: 테스트 환경 / npm test로 실행할 떄.env.production: 배포 환경 / npm run b
Docker 정리
참고자료 : https://www.youtube.com/watch?v=LXJhA3VWXFA Docker vs VM VM은 각 virtual machine에 OS가 설치됨, 무겁다 반면 Docker은 기본 단위가 되는 Container들이 Docker Engine 위에
React + Webpack + TypeScript 환경 설정
Webpack으로 React 시작하기baseUrl이 "./src"로 설정되어있어 React 파일에서 /component와 같은 방식으로 참조 가능.webpack config에서 resolve 옵션에 아래와 같이 설정해주어야.오류: Cannot get /{route} \

CRA없이 환경변수 설정하기 - dotenv, ReferenceError: process is not defined
웹팩에서 제공하는 플러그인으로, 노드 런타임에서 process.env에 저장되는 환경변수를 전역변수로 등록해준다.appID라는 값을 인자로 넘기면 process.env.appID라는 값이 환경변수로 설정되어 전역 변수에 할당된다.https://hjuu.tist
.env를 이용한 환경설정
디렉토리의 root에 .env 파일을 생성한다..gitignore에 추가해 원격저장소에 저장할 때 파일이 올라가지 않도록 해준다..env에 사용할 key를 저장해 주는데 앞에 REACTAPP이라고 앞에 붙여줘야 한다! 붙이지 않으면 무시한다.env안의 key를 가져오기
2022.03.29
https://db2dev.tistory.com/entry/React-Webpack%EC%9C%BC%EB%A1%9C-%EA%B5%AC%EC%B6%95%ED%95%9C-React-%ED%94%84%EB%A1%9C%EC%A0%9D%ED%8A%B8%EC%97%90%

[React] webpack으로 구축한 React 프로젝트에서 환경변수 적용하기
CRA를 사용하지 않고, webpack과 babel로 직접 구축한 프로젝트에 환경변수 설정을 하다가 삽질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합니다. '리액트에서 환경변수 적용하기' 키워드로 구글링하다가 보면 dotenv 패키지 설치 > 프로젝트 루트에 .env 파일 생성 > REAC

dotenv로 환경변수 안전하게 설정 및 관리하기 (.env, .gitignore)
git으로 관리하지 않을 파일들을 설정해 주는 파일이다. 이 안에 있는 파일들일 gitHub에 업로드 되지 않느다.ex) 만약 한 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리기 위해, git commit을 작업을 한다면? gitignore파일에 적힌 파일들은 커밋이 되지 않느다. (

환경변수(.env)
OS 운영 시스템에 등록되는 변수 OS전반에 걸쳐 모두 적용된다. dotenv 모듈을 사용 할 것이다. dotenv를 사용한 이유 외부에 노출되는 환경변수 값들을 감춰줄수 있다. 개발은 혼자서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누구는 맥 에서 개발하고 누구는 리눅스 , 윈도우
.env.local 로 URL 작성시 undefined
.env.local 로 URL 작성시 호출 URL 중간에 localhost:8080/undefined/auth/login 처럼404에러가 나올수 있다axios사용시 URL을 env로 거치지말고 직접 써서 호출해봐서 확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