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gger

20개의 포스트

Dependency Injection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1-04-27-dependency-injection/DI(dependency injection):A클래스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B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있어야 함.이러한 경우 A클래스는 B클래

2023년 2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I] 의존성 주입의 이해와 필요성

의존성에 대한 이해와 의존성 주입의 필요성, 그리고 의존성 주입의 방법들과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2023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gger] Activity 에서 필드 주입은 언제 일어나야 할까?

Dagger 를 사용한다면 필드 주입 타이밍에 유의하자!

2022년 12월 11일
·
7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gger2 (1)

Dagger는 DI Framework입니다. DI는 Dependency Injection의 준 말입니다. 의존성 주입이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A라는 객체를 B라는 객체에서 호출하여 생성하게 된다면 B는 A에 대해서 의존성을 갖게되는 것입니다. A의 값이 변경이 된다면

2022년 7월 7일
·
0개의 댓글
·

Hilt와 Dagger, JSR-330 (3) - Pure Java/Kotlin Module

안녕하세요, 이번 편에서는 Pure Java/Kotlin 환경에서 Hilt를 적용할 수 없을 때 JSR-330 Annotation을 이용하여 Dependency Injection을 하는 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번 시리즈는 저번 시리즈들보다 짧게 다뤄질 예정입니다. 많은 내용은 없거든요. Pure Java/Koltlin 모듈을 사용한 제 프로젝트를 예...

2022년 2월 6일
·
0개의 댓글
·

Hilt와 Dagger, JSR-330 (2) - ViewModel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시리즈에 이어서 ViewModel 쪽을 알아보겠습니다.지난 포스팅에서 멈춘 getHiltViewModelFactory 쪽부터 이어서 시작하겠습니다.여기서, SavedStateViewModelFactory를 가져오는 것을 보아 View

2022년 2월 5일
·
0개의 댓글
·

Hilt와 Dagger, JSR-330 (1) - Activity

안녕하세요, Hilt와 JSR-330의 Annot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먼저, JSR-330은 Java용 Dependency Injection 이며, 주입 가능한 클래스에 사용할 annotation을 표준화합니다.아래와 같은 인터페이스들이 있습니다.Hilt나

2022년 2월 3일
·
1개의 댓글
·

Dagger 추가 Annotation - Named

또 다른 버거를 추가하고싶어요!생성하고 싶은 Burger가 한개 더 생겼습니다!모듈에 무엇을 넣는지 알려주어야 겠습니다.하지만 이렇게 되면 맨 마지막 provideBurger부분에서 어떤 버거인지 알 수 없습니다. 두개의선택지가 있기 때문이죠.이걸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2021년 10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의존성 주입(DI) & Dagger2

먼저 의존성에 대해서 알아보자.위 상황에서는 AClass가 내부에 internalVariable을 정의하면서 BClass를 사용한다.이럴때 A클래스는 B클래스에 의존한다고 한다.쉽게 말하면 한 객체에서 다른 객체를 쓰면 그게 의존성이다.A클래스가 B클래스를 의존한다면

2021년 10월 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의존성 주입 & Dagger

의존성 주입이란 특정 객체의 인스턴스가 필요한 경우 외부에서 생성하여 전달하는 기법이다.

2021년 1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ilt - Android Dependency Injection

Androdi에서 Dagger2를 사용하여 DI를 구성할 때 러닝커브가 있는것은 사실이다.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Spring에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정의 앞에 추가하는 거랑은 다르게 DI의 기본 구조를 구성해야 된다. DI 그래프를 완성할 수 있게 모듈/

2020년 7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agger Hilt의 Components Lifecycle

Dagger Hilt에서 미리 정의 된 Components의 Lifecycle은 아래 그림과 같다.lifecycle

2020년 7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Dagger를 이용한 주입 기법 -4

10. 범위 지정하기 각 컴포넌트는 @Scope 애노테이션과 함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안드로이드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액티비티, 프래그먼트 인스턴스에 대한 범위 지정을 다르게 관리함으로써 오브젝트 그래프의 생성과 소멸을 각자 관리할 수 있다. @Singl

2020년 7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Dagger를 이용한 주입 기법 -3

7.컴포넌트 컴포넌트는 바인딩된 모듈로부터 오브젝트 그래프를 생성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Component를 사용하여 컴포넌트를 생성할수 있으며 interface 또는 abstract 클래스에만 붙일 수 있다. 컴파일 타입의 애노테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

2020년 7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Dagger를 이용한 주입 기법 -2

첫 번째 의존성 주입 구현하기 dagger는 컴파일 타입의 의존성 주입에 필요한 애노테이션을 읽고 의존성 주입에 필요한 클래스 파일들을 생성한다 Dagger는 @Module과 @Provides 애노테이션을 읽고 의존성 주입에 필요한 파일들을 생성한다. @Module

2020년 7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Dagger를 이용한 주입 기법 -1

\-의존성 : 객체지향에서 두 클래스 간의 관계를 말하는것으로 일반적으로 둘 중 하나가다른 하나를 필요로 한다.\-주입 : 외부로부터 생성된 객체를 전달받는 것을 의미한다.\-의존성 주입 : 의존 관계에 있는 클래스의 객체를 외부로부터 생성하여 주입받는다. 다시한번 컴

2020년 7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Android] Android Studio 4.1 - Dagger Navigation

안녕하세요!오늘도 좋은 포스팅 하나 공유 합니다!Dagger바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4.1에 적용된 Dagger Navigation 입니다.이 기능으로 해당 의존성이 어디서 사용되고 있고 어디서 주입이 되었는지 Inspector를 볼수가 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2020년 4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DI(Dependency Injection)에 대해 알아보자

요즘들어 삘을 받아서 폭풍 포스팅 중 입니다.🤗이번 포스팅은 DI(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에 대한 내용인데요.먼저 DI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안드로이드에서 많이 쓰이는 DI 라이브러리들을 간단히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자 먼저

2020년 4월 16일
·
2개의 댓글
·

Exploring Dagger2

Exploring some key concepts and components of Dagger2.

2019년 4월 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