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tant
Java 변수 타입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뉘어진다. 기본형은 총 8개다 :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 boolean나머지는 전부 참조형이며, class의 이름을 활용해 선언된다.기본형의 타입은 선언시 사용한 이름이다.참조형의 타입은 선
상수 - Constant
상수 (constant): 변하지 않는 값을 나타내는 변수 값을 상수로 선언하면 프로그램 내에서 값을 여러 번 사용 할 때 유용 값이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 ex) final int a = 1; 예약어 변수명 = 변수값; static final int b
[JAVA] 상수(Constant)의 데이터 타입
상수: 변하지 않는 값a = 1; 1은 상수이고 a는 변수이다.→1은 2도 3도 아닌, 온전히 그 자체로 1이기 때문이다.실수 데이터 타입의 예제) double a = 2.2 ; (o)float a = 2.2 ; (x) // 상수자리가 float 데이터형식에 맞지 않

JAVA comment, indent, variable, type(primitive), declare, constant (230615)
variable, constant, type
JAVA_상수(constant)&리터럴(literal)
상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다. 단, 변수와 달리 한 번 값을 저장하면 변경이 불가하다.final int MAX_SPEED = 10; // 상수 MAX_SPEED를 선언&초기화 \- 위와 같이 변수 타입 앞에 final을 붙여준다.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Java] 변수 & 상수
변수 : 저장하고 있는 값이 바뀔 수 있는 메모리 공간변수를 선언한다. = 어떤 값에 저장할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해당 메모리 공간을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붙입다.변수에 값을 할당(대입)한다.대입연산자 : = : 어떤 값을 변수에 대입 또는 할당시켜주는 연산자 좌
상수(constant)와 리터럴(Literal)
1. 상수(constant) : 항상 변하지 않는 값을 상수라고 한다. final 예약어를 사용해서 선언한다. > ex) public final static int MAX_VALUE = 100; -> 숫자 상수 MAX_VALUE public fina

Constant Management
static 변수 및 함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 접근하기 위해 사용한다. swift에서는 어디서 관리하는 것이 좋을까?
Constant vs Literal : 상수와 리터럴의 차이점?
리터럴과 상수의 차이를 아시나요? 둘 다 같은 의미 아닌가 생각된다면 지금 다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