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ose
[Android] LazyColumn안에 LazyVerticalGrid 넣기(nested scroll)
LazyColumn안에 LazyVerticalGrid가 들어감LazyVerticalGrid의 정확한 height는 몰라도 예상하는 최대 height 값이 있어야 함최대 height값을 어떻게든 지정할 수 없다면 이 방법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본인은 화면 중간에 Laz
[Android Jetpack Compose] Compose - Stable
Compose에서 Stable하다는 개념은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Stable이 필요한 이유는 Smart Recomposition 때문이다. Smart Recomposition은 리컴포지션을 진행할 때, 모든 input이 stable이고 같은 값이라면 skip이 되게
[Compose] rememberLazyListState
scrollState로 rememberLazyListState와 rememberScrollState가 있으며, 현재 스크롤되고 있는 상태를 저장한다.이를 이용하여 스크롤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LazyListState는 매우 자주 변경되므로 해당 속성을 읽는
[Compose] SideEffect란?
SideEffect(부수 효과)란 Composable 범위 밖에서 발생하는 앱 상태에 대한 변경이다.SideEffect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2가지를 이해해야 한다.Composable은 각각의 Lifecycle을 가지고 있다.Composable은 단방향으로만 St
[Compose] Surface vs Box
Surface와 Box는 UI 구성 요소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유형의 컨테이너이다.Material Design 시스템에 기반한 Compose의 컨테이너이다. Surface는 일반적으로 카드 또는 패널과 같은 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그림자, 경계선, 배경색 등

[Compose 공식 문서 톺아보기] 4. 상태 관리 개요
앱의 상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 이는 매우 광범위한 정의로서 Room 데이터베이스부터 클래스 변수까지 모든 항목이 포함된다.Jetpack Compose를 사용하면 Android 앱에서 상태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위치와 방법을 명시적으로 나타
ViewCompositionStrategy 알아보기
본 글은 학습을 위해 ViewCompositionStrategy Demystified를 읽고 입맛대로 정리하였습니다.

[Compose 공식 문서 톺아보기] 3. 컴포저블 수명 주기
수명주기 개요 컴포지션은 앱의 UI를 설명하고 컴포저블을 실행하여 생성된다. 컴포지션은 UI를 기술하는 컴포저블의 트리 구조이다. Jetpack Compose는 초기 컴포지션시* 처음으로 컴포저블을 실행할 때, 컴포지션에서 UI를 기술하기 위해 호출하는 컴포저블을

[Compose] 정렬 관련 정리
Compose를 사용한지 얼마 되지 않아서 헷갈리는 것들이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Alignment와 Arrangement 이다. 헷갈려서 찾아보니까 정리된 글이 있어서 참고하여 정리하려고 한다. 🙏컨테이너에서 어떤 방향으로 정렬할지에 대한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상
[Compose 문서 톺아보기] 2. Compose 이해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지금까지 Android 뷰 계층 구조는 UI 위젯의 트리로 표시할 수 있었다. 사용자 상호작용 등의 이유로 인해 앱의 상태가 변경되면, 현재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UI 계층 구조를 업데이트 해야 한다. UI를 업데이트하는 가장 일반적인
[Compose 사용법] Surface
Surface는 요소를 감싸는 컨테이너와 같은 역할을 한다.위 코드처럼 Surface를 이용하여 텍스트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컨테이너 안에 Text를 배치할 수 있다.

[Compose] Kotlin 호환성
최근에 Compose를 사용하면서 Compsoe 컴파일러 버전과 Kotlin 버전이 호환되지 않아서 빌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찾아보니까 공식 문서에 정리해둔게 있어서 정리한다.https://developer.android.com/jetpack
[Compose 사용법] Modifier
Compose에서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Modifier를 사용하면 된다. Modifier에 대해서 알아보자.Modifier는 모든 Compose Componener에서 사용 가능하다.Modifier.width(width: Dp) : 너비를 width.dp로 설정Mo
[Compose 사용법] LazyColumn
XML 기반의 레이아웃에서는 List를 보여주기 위해서 RecyclerView를 사용했다. RecyclerView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ViewHolder, Adapter, Adapter에서 구현해줘야 하는 함수 등이 필수적이었다.Compose에서는 이러한 Recycle
[Compose 사용법] Image 사용
XML 기반 레이아웃에서 ImageView를 Compose에서 사용하려면 Image를 사용하면 된다. Ref https://aroundck.tistory.com/8188

[Android][Compose] Compose에서 네비게이션 사용하기
네비게이션은 Multi screen App을 만들 때 사용한다. 컴포즈에서 네비게이션 컴포넌트는 다음과 같이 4가지가 있다. Destination NavHost Route NavController

[Compose 사용법] TextField indicator
Compose를 사용하면서 사용법을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한다.XML 기반의 레이아웃에서 EditText를 Compose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TextField를 사용해야 한다.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 모양은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