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os engineering

[kubernetes] 카오스 엔지니어링-1
Netflix에서 사용하는 Chaos Monkey의 로고 techtarget에서 Ben Lutkevich가 소개하는 카오스 엔지니어링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카오스 엔지니어링을 적용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는다. 카오스 엔지니어링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음 포스트에서 쿠버네티스에 적용하는 방법을 다루겠다. 1. 카오스 엔지니어링 이란? 테스트 환경 혹은 개발 환경은 실제 배포 환경과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이로인해 배포 환경이 아닌 다른 환경에서 테스트를 할 경우,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를 적절히 테스트 할 수 없다. 몇몇 기업들은 운영 상황에

Kubecon 후기
Kubecon Overview 이번에 기회가 되서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진행된 kubecon 2022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쿠버네티스를 공부한지 얼마되지 않아 이해못한 세션들이 너무 많아서 아쉬었습니다. 그래도 미처 알지 못한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알게 되었고, 프로젝트 개발자와 얘기해보면서 많이 자극받았습니다. 당분간 kubecon에서 얻은 정보를 정리할 예정이고, 가능하다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도 참여 해보려 합니다. kubecon에 있는 동안에 공통적으로 자주 언급되는 기술 스택과 느낀점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Kubernets CRD & Operator 문제 해결 과정에서 CRD & Operator를 사용했다는 얘기를 여러 세션들에서 많이 들었고, 특히 쿠버네티스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가장 많이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postgreSQL의 [CloudNativePG](https://github.com/cloudnativ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