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 lang

C언어 이해
C언어의 장단점 > C언어 장점 실행속도가 빠르다. C언어는 절차지향 언어이며 절차지향 언어의 구조는 컴퓨터의 처리구조와 유사하기 때문에 이식성이 좋다. C로 프로그램 소스를 만들어 놓으면 윈도우 운영체제뿐 아니라 유닉스 등의 운영체제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C언어 단점 유지보수가 어렵다 (비용 증가) 엄격하게 순서가 정해져 있어 비효율적이다. 절자지향 언어란? 절차적 프로그래밍(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은 순차적인 처리를 중요시 여기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프로그래밍 기법이다. 객체지향 언어와의 차이점 객체지향 역시 절차 지향과 동일

Cmake, Makefile 실습
Build 빌드는 다음의 세가지 상태로 과정을 구분하여 나뉜다 > - 소스파일 목적파일 실행파일 소스파일은 우리가 평소에 에디터에서 편집하고 수정할수있는 형태의 파일들로 \.c형태의 파일들을 의미하고, 목적파일은 \.o형태의 파일들이다, 실행파일은 최종적으로 빌드가 완료된 후 실행할수 있는 파일로 unix에선 .out, windows에선 .exe등으로 표기된다 Makefile 생성 전 준비 먼저 디렉토리를 하나 생성후, main.c에 의존성을 지닌 hum.c와 anm.c를 생성해준다. 실습용으로 사용할 각 소스파일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main.c main.h anm.c hum.c 이후 만들어진 파일들을 gcc컴파일러로 컴파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소스파
Cmake,Makefile 개념잡기
Makefile 정의 프로그램 개발시, 프로젝트가 거대해지고 코드가 길어지게 되면 하나하나의 수정파일을 즉시 반영하고 빌드하기가 매우 번거로워 지는데, makefile을 이용해서 빌드시에 불편함을 줄일수가 있다. makefile의 주 구성요소로는 목표가 되는 변수명을 지정하는 target, 동작을 명시하는 command, target옆에 작성하며 target에 대한 전제조건을 명시하는 prerequisite(전제조건) 작동원리나 그 조건에 대해서 서술하는 principle(작동원리) 가있다. makefile도 작성하는 순서가 존재하며, 재귀적으로 적어주어야 원활하게 빌드가 완료되지만, 여러 명령어를 통해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작성할수있게끔 할수는 있다. 매크로를 통해 좀더 쉽고 가볍게 makefile을 작성할수도 있으며, 그를 통해 makefile을 작성할 경우에는 사전에 명시해야할 조건들에 부합되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컴파일러,오브젝트가 되는 파일들, 타겟명시 등
installation the GO
TL; DR window와 ubuntu 두 가지 환경에 설치하면서 본인이 겪은 현상에 대한 메모에 불과함 본인을 위한 메모에 더 가까우므로 참고 바랍니다 installation Key point Go lang에 가장 중요한 것은 project directory를 원하는 곳에 둘 수 없다는 것이다 Go PATH에 무조건 저장을 해야하므로 설치를 할 때 default value로 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을 것이다 Window window의 경우는 Go lang에 접속해서 설치를 하면 된다 딱히 막히는 부분도 없었고 쉽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설치가 되었다면 cmd 혹은 나의 경우 window terminal에서 $ go version을 입력해서 설치된 버전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WSL(ubuntu) `sudo apt-get up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