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locpattern
[Flutter] Bloc <> Other Bloc, Bloc 간 통신 방법
Bloc Other Bloc, Bloc 간 통신 방법 flutter_bloc | Flutter Packages 예제로 배워보는 BLoC Pattern이란 ? Count App With BLoC Count App With Cubit 이번 글에서는 Bloc 간 통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Bloc 사용시 Bloc과 Other Bloc 간을 호출하기 위해 잘 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 한 번 살펴보려고 한다. 해당 방법은 100% 맞다고 볼
[Flutter] Tab & Page View에서 BLoC 사용 방법
Tab & Page View에서 BLoC 사용 방법 flutter_bloc | Flutter Packages 예제로 배워보는 BLoC Pattern이란 ? Count App With BLoC Count App With Cubit 이번 글에서는 Tab & Page View에서 Bloc Patter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Bloc 패턴 사용시 어느 시점에 Bloc을 생성해 줘야 하는지에 따라서 Bloc이 탭을 떠났을 때에 Dispo
[Flutter] 공공 API로 주소 검색 & 주소 선택기 만들기 (BLoC)
공공 API로 주소 검색 & 주소 선택기 만들기 (BLoC) SGIS Developers Postman API Platform 이번 글에서는 공공 API를 활용한 주소 검색 기능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데이터가 없어서 이것저것 찾다 보니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국내 시/군/구 API가 있어서 해당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소 검색 기능을 두 가지 방식으로 개발하였다. 스크롤 포커싱을 통한 주소 검색 방법이 있고, 다른 하나는 단계별 주소 검색 방법이다. API 신청 & Test 아래 통계청에서 운영하는 지리정보서비스에 접속하여 API 사용에 필요한 서비스 키를 신청을 진행해보자. > https://sgis.kostat.go.kr/developer/html/newOpe
[Flutter] Calander(달력) 만들어 보기
Calander(달력) 만들어 보기 Date Picker 만들어 보기 (Cupertino UI) 이번 글에서는 Calander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 Flutter에서는 달력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직접 만들어 보고 싶다면 글을 참고해서 나만의 달력을 만들도로 해보자. Cupertino 디자인의 달력을 원하면, 이전에 작성했던 글을 참고하길 바라며, 여기서는 Material 디자인 달력을 만들도록 하겠다. 글로벌 릴리즈 서비스라면 달력을 만드는 작업도 고난이도의 개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국가마다의 공휴일이 다르고, Direction, DateTime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다. 그래서 여기서는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개발을 할 것이고, UI는 보여줄 수 있는 수준으로만 만들었다. 해당 코드를 가져다 커스텀해서 사용하셔도 되고, 로직만 가져다 사

[Flutter] 예제로 배워보는 BLoC Pattern이란 ?
예제로 배워보는 BLoC Pattern이란 ? bloc | Dart Package flutter_bloc | Flutter Package Lorem Picsum Count App으로 배워보는 BLoC Pattern Count App으로 배워보는 Cubit Equatable 라이브러리 배워보기 [Equatable을 BLoC에서 왜 사용하나 ?]

[Flutter] 상태 관리 7편(State Management) - Cubit
상태 관리 7편(State Management) - Cubit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 1편 - State Ful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 2편 - Value Listenerable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 3편 - Get X [Simple] 상태 관리(State Management) 4편 - Get X [Reactive] [상태 관리(State

[Flutter] StatelessWidget()_BLoC
StatelessWidget()_BLoC StatelessWidget의 state 관리를 위한 유명한 library들이 많다 BLoC, provider, GetX, Cubit 등이 많이 사용하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이고, 이 중에서 GetX만 사용해보지 못했다 개인적으로 배우기 쉽고 가벼운 프로젝트에서는 확실히 provider가 강력하다고 생각하고 사용은 못해봤지만 GetX도 배우고 싶을 정도로 장점이 많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준다 GetX reference는 한국어도 지원하여 다음에 GetX에 대해서도 정리해볼 생각임 좀 더 규모가 있는 project를 하게되면 현재는 거의 BLoC, Cubit을 사용하는 편이고 GetX는 localization, router 용도로 많이 사용하며 요새 provider는 거의 사용을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StatelessWidget()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알아볼 예정이라 상태관리에 대해서는 설명 하지 않겠음 현재 작성된 코드는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