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plicationcontext
데브코스 W4D2
백엔드 데브 코스 중 중요한 개념을 정리하거나 과제 개발 일지를 정리한 공간입니다.오브젝트가 자신이 사용할 오브젝트를 스스로 선택하지 않고 생성하지도 않고 다른 대상에게 그 제어 권한을 위임해 코드의 변경과 유지, 발전을 용이하게 하는 스프링의 주요 개발 원칙이다.Io

Spring 컨테이너와 Bean
앞서 사용했던 이 코드를 자세히 살펴보면, 인터페이스인 ApplicationContext는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ApplicationContext의 구현체이다.스프링 컨테이너는 xml 기반 or 어노케이

[스프링] 일반 클래스에서 Bean 객체에 접근하기 + Environment 를 이용해 property 쉽게 가져오기 (v2)
스프링으로 개발을 하다보면 종종 bean 클래스가 아닌 일반 클래스에서도 Bean 클래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어떻게하면 ApplicationContext 객체를 static 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다음과 같이 구현해봤다.JDK 8Spring boo

Spring의 IoC/DI 컨테이너 동작 확인
학습 목적 : Spring의 IoC/DI 컨테이너에 대한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Maven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생성한 후, XML 형식의 설정 파일을 만들어 IoC와 DI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학습 내용 : Maven을 이용해 스프링 프레임워크 사용하는 프로젝트 생
[TIL]2021.07.26
DI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보통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하나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개의 컴포넌트를 조합해 구현해야 한다. 컴포넌트는 기능에 따라 분리한 요소들도 생각하면 쉽다. DB 접근 컴포넌트, 외부 시스템 접속 컴포넌트 등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존

[Spring] EnvironmentCapable
profile과 property 관리로컬, 개발, 운영 등을 구분해서 처리특정 실행 환경에서 사용할 빈들의 그룹개요운영을 유지보수하면서 추가 요구사항에 대한 배포 진행: 단계적(local, test, stage)인 서버 배포 → 테스트 최종 완료∴ 운영(prd) 서버

[Spring] MessageSource
메시지 국제화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사용자의 Locale에 따라 표출되는 언어를 변경하는 서비스 메세지 설정 파일을 모아놓고 각 국가마다 로컬라이징→ 각 지역에 맞춘 메시지 제공ex) 한국에서 접속 → 한국어로 출력, 미국에서 접속 → 영어로 출력org.springf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