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azon linux 2

4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monitoring] AmazonLinux2 Zabbix 5.0 LTS 설치

회사에서 Pinpoint와 마찬가지로 Zabbix도 활용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인스턴스 기반으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라던가 중요 서비스 도메인들의 URL 모니터링 정도로만 활용하고 있는데, 여러 레퍼런스들을 보면 Zabbix 활용도가 무궁무진한 것 같다. 이번에 직접 설치해 보면서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경험해보고 차차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해봐야겠다. Zabbix 초기 설치 Zabbix 컴포넌트 설치 * zabbix-frontend 레포지토리 활성화 (/etc/yum.repos.d/zabbix.repo) MariaDB 설치 Zabbix 초기 스키마, 데이터 import Zabbix front

2022년 12월 9일
·
0개의 댓글
·

[Amazon Linux 2] Tomcat 서비스 계정 변경

🧐 갑자기 든 의문점 tomcat의 jvm heap 메모리 사이즈를 조정하려고 실행중인 tomcat의 PID를 확인하곤 불현듯 깨달은 것이 있다. 서비스를 실행하는 계정이 root인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내가 tomcat을 컴파일 설치한 후 직접 서비스 파일을 만들어서 실행시켰기 때문이다. -> [Amazon Linux 2] Tomcat 8.5.64 컴파일 설치 & 서비스 등록 따라서, 따로 tomcat을 위한 서비스 계정과 그룹을 만들어서 등록시키는 과정을 기록하게 되었다. Tomcat 서비스 계정 변경 서비스 계정과 그룹 생성 was 그룹을 생성하고, tomcat 계정을 생성함과 동시에 was 그룹에 소속시킴 서비스 파일 수정 서비스 파일에서 User와 Grou

2021년 4월 23일
·
0개의 댓글
·

[Amazon Linux 2] Tomcat 8.5.64 Root Directory 변경

Tomcat Root Directory 변경 🧐 Root Directory(=Document Base, Context Root)란 web application의 기본 디렉토리를 말한다. 즉, 접속자가 :8080/ 와 같은 루트 도메인을 땅하고 쳤을 때, 서버에서 호스팅해줄 파일들이 위치하는 기본 폴더를 얘기한다. 기본적으로 tomcat의 디폴트 루트 디렉토리는 ${CATALINA_HOME}/webapps/ROOT 이다. Root Directory를 원하는 경로로 바꿔보자 ${CATALINA_HOME}/conf/server.xml 에 루트 디렉토리 경로가 지정되어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Host 태그 안에 Context 태그 한줄 추가하면 된다. server.xml (기본) server.xml (바꾼 후) /data/was-app 으로 root directory 변경

2021년 4월 23일
·
0개의 댓글
·

[Amazon Linux 2] Tomcat 8.5.64 컴파일 설치 & 서비스 등록

😉 Tomcat 컴파일 설치 > yum과 같은 package manager 대신, 소스를 직접 다운받아 컴파일해서 설치 > 그런데, 톰캣은 컴파일 과정은 없고 소스파일만 받아다가 잘 위치해놓고 서비스 등록하는 것으로 끝! 😊 서비스 등록 > [Unit] Description=tomcat8.5.64 After=network.target syslog.target > [Service] Type=forking > Environment=CATALINA_HOME=/usr/local/tomcat8/apache-tomcat-8.5.64 User=root Group=root > ExecStart=/usr/local/tomcat8/apache-tomcat-8.5.64/bin/startup.sh ExecStop=/usr/local/tomcat8/apache-tomcat-8.5.64/bin/shutdown.sh > UMask=0007 RestartSec=10 Rest

2021년 3월 2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