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riterListener
총 1개의 포스트

[Spring] Servlet 3.0 & Servlet 3.1
이전 내용에서는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요청과 서블릿 컨테이너간의 Connector에 대해서 공부했었다. 이전 내용을 잠깐 설명하자면 다수의 커넥션을 관리하기 위해 커넥션당 하나의 스레드를 할당하는 BIO Connector 대신 Poller 통해 사용가능한 소켓에 스레드를 할당하는 NIO Connector를 사용하게 된다. NIO Connector의 등장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블릿 컨테이너간 커뮤니케이션이 NonBlocking이 되었다. 하지만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Servlet 3.0이전의 서블릿단에서는 여전히 Sync-Blocking 방식으로 동작했기 때문에 Block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서블릿에서의 처리 스레드를 기다리기 위해 요청 스레드가 결국 idle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Servlet 3.0과 3.1에서 Aynce Servlet과 NonBlocking I/O를 지원하게된다. Servlet3.0과 3.1에
2022년 6월 21일
·
0개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