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LDCARD

LETSENCRYPT 인증서 갱신
80 포트 오픈 여부 확인리다이렉팅 되어 있으면 해제sudo iptables -t nat -L --line-numberssudo iptables -t nat -D PREROUTING 1웹서버(nginx) 멈추기sudo systemctl stop nginx.service
[JAVA] 제네릭(Generics)과 와일드카드(Wildcard)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 체크(compile-time type check)를 해주는 기능객체의 타입을 컴파일 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이고 형변환의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타입 안정성을 높인다는 것 :
[리액트를 다루는 기술] Route 와일드카드(*)를 이용해서 NotFound 페이지 만들기
Route path='\*'는 아무 텍스트나 매칭하다는 의미상단에 위차한 모든 라우트들과 매칭되지 않으면 해당 라우트를 실행한다.

개발자 용어
what is "smoke testing"? \*\*Smoke testing is the preliminary check of the software after a build and before a release.According to Wikipedia, the ter
와일드카드와 제네릭메소드
?에 Toy가 올 수 있구나 -> Box 가능하구나extends니까 꺼내는 것(get)만 가능하겠구나 -> box.get()?에 Toy가 올 수 있구나 -> Box 가능하겠구나super니까 넣기만(set)만 가능하겠구나 -> box.set()Type Erasure 때문
와일드 카드란 무엇인가
와일드카드(Wild Card)란 왜 사용하는가? 제네릭 메소드와 합쳐져 큰 힘을 낼 수 있다. 와일드 카드만 떼놓고, 제네릭 메소드만 떼놓고 보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없다. but) 제네릭 메소드와 헷갈릴 수 있다.
3-3(2) 와일드 카드(1)
제너릭이 사용된 객체를 참조할 때 참조할 객체의 타입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extends T> => 와일드카드의 상한제한. T와 그 자손들만 가능<? super T> => 와일드카드의 하한제한. T와 그 조상들만 가능<?> => 모든 타입이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