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3C

14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TD: Introduction

https://w3c.github.io/wot-thing-description/ Thing Description W3C 사물 웹(WoT)의 중심 구성 요소이며 사물의 진입점 구성요소 사물 자체에 대한 텍스트 메타데이터 상호 작용 어포던스 집합 사물과의 교환 데이터에 대한 스키마 상호작용에 관한 보안 정의 웹의 다른 사물 또는 문서에 대한 관계를 표현하는 웹 링크 Interaction Model Property Action Event PropertyAffordance class 현재 값을 가져오거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등의 파라미터를 감지하고 제어 ActionAffordance class 물리적(따라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프로세스의 호출이지만, 기존 플랫폼의 RPC와 같은 호출을 추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EventAffordance class 알림, 이산 이벤트 또는 값의 스트림이 수신기에

2023년 9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 웹 표준

웹? 인터넷? 둘은 무언가 비슷한 개념인 것 같다.. 하지만 엄연히 구분하자면 전혀 다른 의미이다. 🖥 인터넷 :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이고, 웹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한, 게임, 앱, 등 모든 서비스를 칭한다. 그중에 웹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조금 더 포괄적인 의미. 따라서 > 웹은, 하나의 공간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정보들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 웹 표준 :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권고하는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예전 웹에선 브라우저마다 서로 호환이 잘 되지 않아서 정상적으로 UI가 동작하지 않는 일이

2023년 8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웹 표준 알아보기

인터넷은 공간을 초월하여 전세계에서 접근할 수 있는 아주 방대한 공간입니다. 수 십억의 사람들이 동시에 접근하는 공간이니만큼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어떤 곳의 누가, 어떻게 이용해도 웹 페이지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웹 표준을 제정하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웹 표준 Web Standards 웹 표준은 브라우저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웹 페이지 작성의 기술과 규칙입니다. 초기에는 HTML에 대해서만 표준을 지정했지만 CSS, Javascript 등 웹 페이지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늘어나면서 동시에 그에 대한 웹 표준들도 속속들이 제정되어 권고되고 있습니다. 웹 표준은 여러 기관에서 발표하고 있으나 대표적으로는 W3C에서 권고하고 있습니다. 들어가보면 엄청나게 많은 웹 표준 권고안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볼

2023년 8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시멘틱 웹 (The Semantic Web): A New Way to Understand the Web

The Semantic Web: A New Way to Understand the Web The Semantic Web is an extension of the World Wide Web that aims to make the web more machine-readable. This is done by adding semantic information to web pages, which allows comput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content. Here are some of the benefits of using the Semantic Web: It can make the web more accessible to people with disabil

2023년 4월 28일
·
0개의 댓글
·

면접스터디 - 10일차

`요소는 왜 `요소의 자식 요소여야만 하나요? 간단한 대답은 ` 혹은 태그로 목록임을 알려주고 자식태그로 는 개별 항목이라 알려주자는 합의 때문에 그렇습니다. 웹 접근성을 제공하기 위해 활용합니다. 은 unordered list의 약자이고 은 ordered list의 약자입니다. 즉 묶음을 의미하고 순서를 표현하고자 할 때만 다릅니다. `은 list item의 약자입니다. 묶음 안에 있는 개별 항목을 의미합니다. 어디까지 시멘틱 마크업을 준수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다른 태그를 삽입해도 정상동작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준수하면 SEO와 웹접근성 또 프로그래머가 코드를 독해 할 때 덜어 줄 수 있는 인지부하가 트레이드오프를 보면 괜찮은 거래입니다. 이제는 더 깊은 답변을 찾아 보겠습니다. 도입할 때 사람들이 목록을 많이 작성하는 것을 아마 발견했을

2023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웹과 인터넷 개념

✏️ WWW - World Wide Web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사용자끼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 ✏️ HTTP protocol 요청 (request) 와 응답 (Response) 의 형태로 이루어진 웹 통신 규약 ✏️ Web Server & Client web server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여 응답함 client - 웹 서버에 원하는 정보를 요청함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index.html 파일을 요청 웹 서버는 index.html 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전송 클라이언트의 웹브라우저는 index.html 파일을 해석해 클라이언트에게 웹 페이지를 보여줌 ✏️ Web Page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정보를 요청한 후,

2023년 3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ML] 기초부터 파보기

✔️ HTML 웹사이트의 모습을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X / 마크업 정보를 표현한다. 마크업이란 | 문서가 화면에 표시되는 형식을 나타낸다. ✔️ HTML5? HTML4? HTML5 용어는 최신 웹 기술을 가리키는 유행어입니다. 이제는 이전 HTML과의 차별화를 위한 용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는 WHATWG\,W3C\에서 Living Standard를 HTML의 유일한 버전으로 취급합니다. \* WHATWG : 웹 하이퍼텍스트 애플리케이션 테크놀로지 워킹그룹 \* W3C :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는 조직 > # ✔️ Elements(요소) 분석 >>## Tag(태그) 웹 문서에 정보를 정의해주는 형식 표시를 하기 위해 붙인 꼬리표 -> Elements 예시 >>## Self-Closing / 빈 요소 XHTML 시절에는 Self-Closing 문법이 강제였지만, 현재 Living Stan

2023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21213 TIL> Web Description

웹앱의 동작원리 사용자 컴퓨터의 주소창에 페이지 주소를 입력한다.(HTTP,HTTPS 등을 포함) 해당 주소에 맞는 서버로 최초의 요청(Request)이 들어간다. 서버는 사용자에게 HTML파일로 최초의 응답(Response)를 한다. 브라우저는 다시 서버에게 HTML의 구조에 맞게 추가 파일들을 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서버는 CSS,JS,JPG 등의 파일들을 추가로 응답한다. 웹앱의 개발과정 우리의 컴퓨터 환경 '로컬(Local) 개발 환경'에서 개발한다. 개발된 HTML,CSS,js 등을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업로드한다. 서버의 주소를 설정한다. 설정된 주소에 접근하는

2022년 12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생활코딩 - <Web> 14 :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태그인 '링크' 태그 <a> 사용하기, 새 탭으로 링크 여는 방법, 마우스를 올렸을 때 설명 박스 뜨게 하는 법

14) HTML 태그의 제왕, "링크" 태그가 웹의 왕국이라면 이 태그는 이 왕국의 제왕이다. 현대의 HTML은 150여 개 태그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들 모두 이 태그 아래에 있다. 검색 엔진들은 이 태그 덕분에 전 세계의 웹을 항해하면서 웹페이지를 발견할 수 있었고 이 태그 덕분에 최고의 검색 결과를 만들 수 있었다. 이 태그가 없다면 검색 엔진은 존재하지 않을 정도이다. 우리의 일상에서 검색 엔진이 없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이 태그는 도시의 길과 인체의 혈관과 같은 것이다. 이 태그가 없었다면 전 세계 모든 웹 페이지는 고립될 것이고 정보 혁명도 시작되지 않았을 것이다. 이 태그는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고, 사용하는 태그이다. HTML의 약자이며 **H

2022년 8월 25일
·
0개의 댓글
·

[개발자되기: 웹접근성] Day-42

웹접근성 (Web Accessibility) 장애인과 고령자 등이 웹사이트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 ex) 스크린리더 => 이미지에 들어있는 글자의 경우 스크린리더가 인식할 수 없어 음성으로 읽어줄 수 없음 웹 접근성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 사용자층 확대 다양한 환경 지원 정보 소외계층이 아니더라도 정보 접근이 어려운 상황(운전중, 마우스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 누구나 노출될 수 있음 사회적 이미지 향상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인식의 용이성 (Perceivable) 적절한 대체 컨텐츠 alt 속성 사용하기 : 배경 이미지와 같이 정보를 인식할 필요가 없는 경우 alt 값으로 빈 문자열을 주어 스크린리더가 인식하지 않게 해야함 `` 자막 제공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

2022년 7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Assembly VS Javascript

내가 주로 사용하는 자바스크립트 구동과정을 이해하면서, 자료를 찾아보던중, WebAssembly 기술을 접하게 되었다.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자바스크립트와 차이점은 어떤것인지 알아보고 싶어졌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와 웹어셈블리 구동의 차이점을 보는 포스팅이다. WebAssembly 웹 개발을 많이 하는사람들은 다양한 언어로 개발을 하지만, 결국 HTML5와 Javascript 는 꼭 이해를 해야한다. 하지않는다면 웹 서비스 운영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기술은 자바스크립트를 몰라도 개발할수 있고, 자바스크립트 보다 단순하게 보면 더 빠른 구동을 자랑하는 웹 언어이다.** 2019년 부터 W3C에서 권장하는 4번째 웹

2022년 5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알고 계셨나요? CSS는 청각효과도 줄 수 있습니다 😲

HTML, CSS, JS는 웹 개발자들뿐만 아니라 웹 개발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이 알고 있는 웹 페이지의 구성 요소들입니다. HTML은 페이지의 구조를 표현하고, CSS는 페이지를 시각적으로 꾸며주고, JS는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고 계실 겁니다. (저도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렇게 알고 있었습니다. 😅) 하지만 웹 표준을 정의하는 W3C에서는 이 셋의 정의 중에서 CSS의 역할을 조금 다르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W3C에서 정의하고 있는 HTML과 CSS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문 참고 뭔가 이상한 점을 느끼지 않으셨나요? 저도 바로 그 부분에서 '내가 방금 뭘 읽은 거지?'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CSS는 청각적 레이아웃을 제공한다."라는 부분입니다. 웹 개발을

2021년 4월 14일
·
3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ML 기초

(본 포스팅은 드림코딩의 엘리님 https://www.youtube.com/watch?v=OoA70D2TE0A&list=PLv2d7VI9OotQ1F92Jp9Ce7ovHEsuRQB3Y&index=6 를 참조합니다.) 기초 사항 > W3C에서 웹에대한 표준을 만들며 MS같은 기업이나 단체에서 이 표준을 따라서 만들게 된다. HTML MDN 페이지에서 여러 태그들과 예제,* 브라우저 호환 정보* 등이 있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 웹 사이트 뷰를 개발하는 순서! 1) 사이트의 구조 파악하기 &nbsp;&nbsp;&nbsp;&nbsp;&nbsp;(큰 구조 -> 작은 구조 방향 (header / navigation / main / sidebar 등등!) ![](https://images.velog.io/images/neity16/post/a09b6890-34c3-4

2020년 9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HTML 1. Basic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Fron-End : 화면쪽 Back-End : 서버쪽 HTML5는 HTML의 새로운 표준 HTML5 (와꾸,내용) + CSS3(폰트,디자인,스타일..) + Javascript (실제적인 동작, 상호작용) . HTML 구성요소 **` Web Programming ` 시작태그 + 요소(element)의 내용 + 종료태그** . Front-end 개발 진행 순서 UX 디자인 -> APP 기획 -> UI 디자인 -> 개발 -> 테스트 -> 유지보수 화면은 손이 많이 가고 에러 잡기가 힘들다 UX : User Experience 사용자 관점에서 화면 기능 구성

2020년 9월 1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