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A

GA4의 이탈과 이탈률, UA와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nooreong입니다. 오늘은 이탈과 이탈률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많은 회사에서 프로덕트와 마케팅 지표로 이탈 혹은 이탈률에 대해 많이 이야기합니다. UA가 이탈을 주된 지표로 사용하였고, 그게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 큰 이유 중 하나일 것입니다. Google에서 공식적으로 UA의 지원 중단을 발표함에 따라, 앞으로 의미 없어지는 UA의 개념을 굳이 끌어다가 비교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탈과 참여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UA와 GA4의 비교는 굉장히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번 글에서는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UA의 이탈과 이탈률 먼저 UA의 이탈과 이탈률에 대해 매뉴얼에 나와있는 설명부터 보겠습니다. UA의 이탈은 쉽게 말해서 이런 개념입니다. 특정 페이지
UA(navigator.userAgent)가 사라진다
구글이 navigator.UserAgent의 이용 중단 계획을 발표했다! Here's Google's current plan on dealing with the UA string deprecation: Chrome 81 (mid-March 2020) - Google plans to show warnings in the Chrome console for web pages that read the UA string, so developers can adjust their website code. Chrome 83 (early June 2020) - Google will freeze the Chrome browser version in the UA string and unify OS versions Chrome 85 (mid-September 2020) - Google will unify the UA desktop OS string as a co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