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ams

팀즈 WebHook으로 에러 알림받기
개발자님 A페이지에서 오류가 났나봐요. > 확인해보겠습니다. > 내부망 > 서버 > 로그 찾기 서버 에러가 나는 경우 500 상태 값을 리턴해주고 console.error()를 찍어놓는 방식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습니다. 사이트에 오류가 났을 경우, 대개 서버에러인 경우가 많고 그러면 내부망에서 서버에 접근해서 로그를 찾아봐야했습니다. 오류가 발생했을 때 확인하는 과정도 귀찮음이 있고,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서버 로그를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에러가 났을 때 바로 알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저희 팀은 팀즈로 소통을 하고 있고, 팀즈 알림에 반응하도록 적응이 되어있어서 팀즈 알림을 활용하면 어떨까 했습니다. 팀즈에는 각 채널별로 웹훅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 팀즈의 웹훅을 활용해 오류가 났을 때 알람이 가도록 하면 되겠다! 🎊에러 핸들링에 팀즈 웹훅 추가하기 console.error()로만

Microsoft teams 우분투에 설치하기
MS teams를 설치하려고 찾아보면 안되는 과거의 내용들이 많이 보인다. Ubuntu 22.04 이상이라면 다음의 명령어로 설치하면 쉽게 된다. MS에 방문해서 직접 다운 받으라는 가이드도 있고 sudo snap install teams 를 가이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모두 안돼서 위 명령어로 해결이 되었다. 끝
윈도우 마이크 음소거 해제
마이크음소거 해제가 필요할 땐 Win+R키 입력하여 mmsys.cpl 실행한 뒤 음소거 된 마이크를 음소거 해재해줄 것

Teams 로 AWS DB 모니터링 메세지 받기
1) Teams Webhook 발급 알림을 받고자 하는 채널의 webhook URL이 필요. 1. 알림을 받고싶은 채널의 더보기(...) > 커넥터 2. Incoming Webhook 검색 > 설정 노란색 네모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음. 3. 알림 받고자 하는 이름 설정후 확인 이름 설정후 확인을 하면 사진의 가장 아래처럼, webhook URL이 발급된다. 이 URL을 저장. 혹시 까먹거나, 나중에 다시 보고 싶다면 2번에 노란색 네모를 누르면 나옴. 
YONA + Teams Webhook 연동
개발한 이유? 회사에서 사용중인 yona를 teams 메신저에 알림을 보내기 위해, webhook을 사용했는데, 알림 메시지가 slack 처럼 깔끔하게 전달되지 않아, 커스텀하게 수정. webhook 이란? https://frtt0608.tistory.com/143 https://leffept.tistory.com/329 위 링크 참조(내용 설명이 잘 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통신방식은 요청포인트에다가 response를 하는 polling 방식이지만, webhook의 경우는 어떤 이벤트가 생겼을 때 미리 지정한 callback-url로만 이벤트를 보내는 방식 1. 메신저 Webhook URL 얻기 1) slack webhook https://jojoldu.tist

오피스 매니저였던 나는 왜 개발을 시작했을까? #1
시작 2019년 나는 프랜차이즈 회사에서 오피스 매니저로 일하고 있었다. 그전까지 내가 개발이란 것을 할 줄 생각도 못하고 있었다. 나름대로 주어진 툴로 최대한 생산성을 높이려는 시도는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았다. 결국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내가 직접 만들어보자 라는 생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됐다. 당시 비효율적이었던 지점과 개선하려 했던는 나의 시도는 두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 흩어져있던 툴 합치기 [2. 사내 시스템 개발](https://velog.io/@jhoon5245/%EC%98%A4%ED%94%BC%EC%8A%A4-%EB%A7%A4%EB%8B%88%EC%A0%80%EC%98%80%EB%8D%98-%EB%82%98%EB%8A%94-%EC%99%9C-%EA%B0%9C%EB%B0%9C%EC%9D%84-%EC%8B%9C%EC%9E%91%ED%
0429 개발일지
오늘 한 일 정보처리기사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6/11) MS Teams 사용법 안내 사내 뉴스레터팀 내부 소통을 위해 MS Teams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워낙 기능이 다양하다 보니 기존에 teams를 사용하시던 분들이 Teams로 어떤 것을 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는 시간을 가졌다. 게시물: 하나의 주제를 담은 게시물에서 댓글로 채팅을 할 수 있다. 카톡 등 메신저는 채팅을 하다보면 다른 내용들이 섞여서 알아보기 힘든데 여긴 주제별로 이야기할 수 있어서 분류가 잘 될 것 같다. 예전에 올린 게시글에도 채팅 등 활동이 있으면 바로 맨 아래로 내려와 최신 현황을 보여준다는 것도 좋았다. 업무자동화: Power Automate라는 앱을 이용해 반복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실제로 Teams를 알려주신 직원분은 이 앱을 활용해 주간 보고 업무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단축했다고 하셨다. 나도 업무 자동화에 관심이 많은 만큼 이 기능을 잘 살펴 볼 예
0421 개발일지
오늘 한 일 제안서 ppt 작성 관련 오전: 이사님 피드백 받고 정리 템플릿 통일 업무흐름도 대폭 수정 완료 팀별 피드백 완료 내일 오전 10시에 2차 피드백 있을 예정 5월호 뉴스레터 회의 5월호 사내 뉴스레터 편집장을 맡게 되었다... 오전에 뉴스레터 회의 진행함 뉴스레터 회의록 작성 및 teams 공유 완료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 직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정기적인 일정을 기획하고 있음 기타 뉴스레터 팀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Microsoft Teams를 사용하기 시작함. 오늘 회의록 및 추후 일정을 팀즈로 안내함. 개인 todo 관리를 위해서는 asana를 계속 쓰고 있음. 프로젝트별, 섹션별 규칙을 지정할 수 있어 재밌음. 원래 asana를 목록형으로 보다가 trello랑 비슷하게 보드형으로 바꿨음. 예전 trello를 쓰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할일-진행중-완료 보드로 분류하는 것이 편하게 느

Power Automate 템플릿 실습7 (TIL 1-9)
이번에는 폼즈에서 설문을 진행하게 되면 Microsoft Teams에 등록이 되도록 설정하도록 하겠다. 사실 이 기능은 회사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어서 어렵지 않게 테스트를 진행했다. 📋 템플릿 생성 템플릿을 생성해보자 (새 응답이 제출되면 팀에 알립니다.) 템플릿 생성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 흐름도 작성 📌 흐름도1 양식ID : “고객사 데모 양식 test” 선택 📌 흐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