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ubnet
VPC, Public/Private Subnet, NAT Gateway
VPC, Public/Private Subnet NCP에서 가장 중요한 건 IAM IAM은 계정의 Authentication, Authorization을 담당하는 서비스예요 그 다음이 VPC VPC는 가상의 서비스 네트워크 망임 (중요하고 재밌음) 네트워크 여

AWS VPC Setup for EC2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SSH로 접속하고자할 때 VPC에 대한 필요한 리소스들을 정리해보자.Terraform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아래의 리소스들이 필요하다.aws_vpc: VPC 생성aws_subnet: VPC 내부의 서브넷 생성aws_internet_g

AWS VPC & Subnet 설정
이전에 결과를 공유하기 위해 AWS UI 형태의 콘솔을 활용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반복하는 것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AWS CloudShell을 활용하여 터미널 형태의 콘솔에서 명령어로 동일한 결과를 만들 수 있다면 매우 효율적일 것 같다.AWS

VPC 확장과정 - 1
Public - A, CPrivate - Application, DBApplication - A, CDB - A, CPublic, Subnet 각 1개씩 생성Public 라우팅 테이블에 0.0.0.0/0 에 생성한 IGW 선택

[AWS] Terraform으로 기본적인 AWS Network 구조 만들기
IaC 도구인 Terraform을 통해 앞서 살펴본 기초적인 AWS Network 구조를 생성해봅니다.

[AWS] AWS Network 이해하기
AWS VPC, Subnet, Internet Gateway 등 기본적인 네트워크 이론 및 구성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AWS - Subnet, Gateway, RoutingTable, SecurityGroup, EC2, RDS
Subnet, Gateway, RoutingTable, SecurityGroup, EC2, RDS
vpc와 subnet와 gateway와 route table와 security group와 ec2
vpc와 subnet과 gateway와 route table 그리고 security group와 ec2

[AWS] VPC 구성해보자 (EC2, RDS 배치)
CI/CD 구축을 위해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한다.EC2 (애플리케이션 서버) , RDS(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나누어 사용하고 이를 위해 VPC를 생성하고 서브넷을 나누어 각각 배치하기 위한 과정을 담아보려한다.시작하기 앞서 간단하게 VPC에

AWS: VPC 설정하기
AWS 계정 내 가상의 네트워크를 설정하여 하나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여러 개로 나누어 본다. 내(사용자)가 원하는대로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등을 실습해본다.

AWS-NACL과 Subnet연결, EIP
\-> NACL에 해당되어지는 Subnet에 적용시키기 위해 서브넷 연결 편집에 들어가서 해당 Subnet과 NACL을 연결해준다.EIP는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이고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에 탄력적 IP 주소를 지정가능하다. 탄력적

AWS-SUBNET
Subnet각 서브넷에서 AWS 리소스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목록(ACL)을 포함한 다중 보안 계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Trader-WEB-AZ1 subnet\-> 사용자들이 접속할 Web OS를 위한 Web Subnet 구성Trader
NAT gateway로 Docker Hub 이미지를 호출하는 대신 AWS ECR과 VPC endpoint를 사용해보자
서론 지난 글에서 NAT gateway를 사용하여 private subnet에서 Docker Hub에 요청을 보내어 docker image를 가져오는 실습을 진행해봤다. 글을 마치면서 NAT gateway 단점으로 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실제로 서비

[AWS] VPC, Subnet, Router
💡 AWS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상 컴퓨팅 환경을 이용하려면 VPC 생성이 필수인데, 정작 VPC가 무엇인지는 잘 모르는 것 같아 구글링과 코멘토의 클라우드 직무 부트캠프를 통해 개념을 정리하고 실습해봤습니다.가장 많이 도움의 된 글은 이블로그 이며, 여러 자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