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teless

HTTP 웹 기본지식 정리 (진행률 31.71%)
김영한 강사님의 HTTP 웹 기본지식 정리 강의를 수강하면서 정리하는 글입니다.중간중간 용어 정리도 할겸 작성하는 거라서 글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습니다. ^^작성중 나오는 이미지들은 제가 강의를 참고해서 직접 만드는 이미지입니다. 헤헤client가 server에게
stateful과 stateless 차이
클라이언트-서버 관계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함을 의미한다.클라이언트의 이전 요청이 서버에 잘 전달되었을 때, 클라이언트의 다음 요청이 이전 요청과 관계가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상태에 대해 저장해야하기 때문에 백업 스토리지가 요구된다.상태 저장에 대한 요청

[System Design][1-3] 시스템을 확장해보자
이 글은 책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를 공부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CS] Computer Science Part4 Day-88
HTTP/1.1, HTTP/2 are TCP-based, and HTTP/3 is a UDP-based.

HTTP Messages
HTTP 즉,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로, HTML과 같은 문서를 전송하기 위한 Application Layer 프로토콜이다.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의 소통을 위해 디자인되었다.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클라이언트가 H
HTTP와 SSL인증서
4~5 208 나머지 211 1. HTTP 정의 >HyperText(문서간 링크되어있는 텍스트)로 만드는 웹페이지를 Tramsfer하는 Protocol(통신규약) 주로 HTML문서를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규약 2. Request & Response
.png)
HTTP 개념과 특징
HTTTP에 대한 간단한 개념, 그리고 굵직굵직한 특징 몇가지 기억해보기!웹 상에서 브라우저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컴퓨터 끼리의 소통을 위한 통신 규약🔖 HyperText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HTTP 웹 기본 지식 (통신 방식)
Request, Response 구조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기다린다.(대기한다)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 결과를 만들어 응답한다.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음장점 : 서버의 확장성이 높음, 각 요청에 다른 서버들이 호출되어도 장애가

[CS] 네트워크 문제 Day-65
IP에 대한 설명 IP 패킷에는 출발지, 목적지의 IP 주소가 포함된다. IP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이다. IP 패킷에는 PORT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P 주소 내에서 프로세스를 구분할 수 없다
2022-02-08(화) 13주차 2일
com.eomcs.net.ex05 ~ ex11 Connection-oriented / Connectionless / URL 클래스 사용법 / URL, URLConnection 클래스를 사용하여 HTTP 요청하기 / ex11: 계산기 클라이언트, 서버 만들기
HTTP란?
우선 HTTP라는 개념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었는데 프로젝트 기간 내에 팀원들과 소통을 하면서 프론트/백 간의 소통에 있어서 어려움을 느꼈었는데 어떤 방식으로 통신을 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지 상의하는데 개념이 제대로 잡혀있지 않아서 그런지 굉장히 당
싱글톤 패턴에 무상태(stateless)가 필요한 이유
📖 ✏️ TIL 시리즈에 작성된 글은 '매일 매일 학습한 지식 조각을 메모해 놓은 포스팅'입니다. 공유가 아닌 개인적인 학습 내용 기록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Flutter] State(상태)를 밥아저씨가 설명하는 것처럼 쉽게 알아보기
State는 Flutter의 코어개념이라 생각한다. 우선 얕게 알아보자.

[http] | Access Token
기본적으로 http 통신은 stateless, 즉 상태를 기억하지 않는다그 결과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후에, 이를 기억하지 않기 때문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할 때마다 권한 요청을 사용자에게 전달한다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access token을 발행하고 이를
HTTP의 특징과 구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소통방식 또는 약속HyperText: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HTML의 HyperText와 그 의미가 동일)Transfer: HTML로 만

http : 백과 프론트가 만나는 역사적인 순간
http : 통신규약Request : 유저 -> 서버Response : 유저 <- 서버http 소통의 핵심은요청과 응답으로 이루어져있음 (메세지 형식으로 되어있음)보안이 취약함\--> https 가 보완해서 보안강화됨http 개별 통신은 모두 독립이어서, 과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