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llup

rollup 라이브러리 배포 - 문제 해결기
들어가기에 앞서...지난 글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프로젝트 내에 구성하면서 겪었던 rollup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캘린더 라이브러리를 배포한 이 후 생기게 된 이슈들을 처리하면서 겪었던 부분을 먼저 정리해볼까 합니다.현재 저희 프로젝트
[vite] NPM Library 생성 시 banner 삽입하는 방법
PNPM, NPM 등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서 빌드를 할 때 결과물 상단에 banner를 넣고 싶을 때 필요한 옵션이다.vite.config.jsdist/my-lib.cjs.js

[Oracle SQL]8일차_23.06.29
단일행 함수 복수행 함수 : max, min, 데이터 분석 함수 : rank, dense_rank, ntile, cume_dist, lag, lead, sum+decode, pivot, unpivot예제. 이름, 월급, 사원테이블의 토탈월급 출력여기 셀렉트문에 토탈월급

Vite와 번들링의 역사
처음으로 작게나마 오픈소스에 기여할 경험을 얻게 되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숨쉬듯이 사용하는 리액트의 한국 공식문서 번역이 시작되었고,저는 그 중 홈페이지의 사이드 바 내부 콘텐츠를 번역하게 되었습니다.사이드 바는 리액트 공식 문서 컨텐츠의 목차와 같은 역할
vite type generator 플러그인 만들기
목적 : openAPi type generator를 npm 스크립트에 포함하여 사용하고 있었는데route path , modal Name , 이미지 파일명 의 타입들도 자동으로 생성하면 좋을것같아서 스크립트를 만들었지만 매번 generater가 추가 될 때 마다 스크립
번들러
storybook web components 6.x 테스트 중 메모storybook web compoentns webpack5 설치// webpack5 설치 후 lit-element 오류로 lit-elemnet 대신 lit 설치다양한 모듈들을 하나의 js 파일로 만들어

Vite! 정말 빠른 번들러 Vite 적용기
안녕하세요~👋 고영이에요. 오늘은 정말 정말 빠른 번들러인 Vite를 소개하려고 해요. SPA 등의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를 쓰다보면 제품 성능과 파일 관리를 위해 웹 번들러를 사용하게 되는데요. 가장 보편적으로 webpack을 많이 사용하지만 webpack의 단점인

Rollup 모듈 번들러로 React 라이브러리 개발 경험기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젝트 간 사용하는 공통기능을 묶어 하나의 라이브러리로 분리하고 싶었다. 처음에는 Webpack으로 분리하려 했지만 라이브러리 내부에서 오류(Cannot read properties)가 해결 이 안되어 Rollup 번들러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룹화(Grouping)
💁♀️ 그룹화(Grouping)란,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것, 즉 데이터를 집계하는 것으로써 단 한 개의 결과값만 산출하는 그룹함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결과값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

[SQL] - SQL function
SQLD를 준비하며 공부했던 내용으로, 2020 이기적 SQL 개발자(Developer) 이론서 + 기출문제를 참고했다.조인(Join)(1) EQUI(등가)조인(교집합)조인은 여러 개의 릴레이션을 사용해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과정조인의 가장 기본은 교집합을 만드는
[React] Rollup 를 이용해 npm 배포하기 - 1
Rollup은 Webpack 같은 모듈 번들러입니다.Rollup은 Webpack과 달리 코드들을 동일한 수준으로 호이스팅 한 후 번들링을 진행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결과물이 가볍다는 장점이 있고 es 모듈 형태로 빌드를 할 수 있어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를 작업하는데

esm으로 번들링한 모듈을 ssr프레임워크에서 사용시 import 에러 해결법(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esm모듈을 직접 수정이 가능할 때에 대한 에러 해결법
[BlockChain] RollUp
초당 14~16개의 tx르 처리하는 이더리움은 초당 2만4000개를 처리하는 비자카드 같은 시스템을 구현 하는게 불가능하다.거래 처리 역량의 부재로 인해 네트워크 과부하현상이 일어나면서 사용자들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거래를 먼저 처리하기 위해 비싼 수수료를 지불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