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tful

REST, REST API RESTful 이란 ?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 전달: 자원의 표현 \- 자원 :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자원의 표현 : 그 자원을 표현하기 위한 이름: 상태(정보) 전달 \- 데이터가 요청되어지
REST API
회사에서 다른 개발자분과 협업하는 도중에 Path Parameter와 Query String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문을 받았는데, 제대로 설명을 못 해드려서 정리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여태 안다고 생각했지만 그냥 이렇게 쓰니까 썼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리를

[Restful] REST - 주석 DELETE
\--> woof woof woof !! - onlysayswoof 를 삭제한 모습마찬가지로 delete 라우터를 생성하고, show.ejs 템플릿에 삭제 버튼을 하나 추가해준다. delete 라우터에서는 filter 메소드를 통해서 id가 일치하지 않는 즉 , 삭제하

[Restful] REST - 주석 Update
흔히 업데이트를 요청하는데 쓰이는 것은 PUT과 PATCH가 있다. PUT은 전체적인 내용을 업데이트 할 때 주로 사용되어 페이로드에 있는 건 무엇이든 요청에 포함할 것이다. 반면 PATCH는 부분적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기존의 comment 내용이 woof w

[Restful] REST - UUID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comment에 임의의 id를 부여했다. 이렇게 임의로 아이디를 부여하게 되면 별로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이런 경우를 위해 사용하는 패키지 UUID를 사용해보도록 하자.UUID는 유니크한 ID를 생성해주는 패키지라고 생각하면 된

[Restful] REST - 주석 Show
이번 포스팅에선 흔히 Show rout , detail route라고도 부르는 걸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show route는 특정한 하나의 리소스에 대한 디테일을 주로 확장된 보기 형식으로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해당 라우트는 일단 어떤 리소스에 대한

[Restful] REST - Express 방향 수정
해당 코드를 통해 form 제출을 완료하고 comment 를 추가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하지만 문제점이 하나 발생하는데, 해당 페이지에서 새로고침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고, 계속 버튼을 누른 뒤 몇번의 새로고침과 계속버튼의 클릭이 이어

[Restful] REST - 주석 New
지난 글에서 Index 를 통해 CRUD중 Read를 작성해보았다.이번엔 New를 이용하여 새로운 post를 생성하고 해당 post를 목록에 추가해서 Create를 구현해보자. 마찬가지로 resource는 comments를 기반으로 한다.먼저 새로운 Post를 입력하는

[Restful] REST - 주석 Index
index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는 기능을 구현해 보도록 하자.ex) resource : commentsviews/comments 폴더내에 index.ejs 템플릿을 생성해주자 해당 코드를 살펴보면, 파일명은 index.ejs이며, comment 데이터를 express

[Restful] REST
REST API란 REST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API를 의미한다. REST API를 알기 위해 REST 부터 알아보자.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스터디] REST API
먼저 RE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기본 개념 : 자원(resource)을 이름(자원의 표현(representation))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즉, 자

[Spring] 스프링 레거시 - 초기설정(3)
Rest API 규칙 준수를 위해 Http 메소드 사용 시 PUT, DELETE 메소드 인식 오류에 대한 필터 설정을 해보자. HiddenHttpMethodFilter 객체에 대한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자.
[Insomnia]RESTfulAPI (기존 웹상의 데이터를 접근하는 방식에서 수정된 'REST'방식의 접근 방법)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웹 상의 자원(데이터)을 자원의 이름으로 표현해서 자원의 상태(값, 정보)를 주고받는 행위를 의미한다.RESTful API와 REST API는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HTTP URI를 통해 자원을

REST API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REST 기반으로 서비스 API를 구현한 것최근 OpenAPI(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구글 맵, 공공 데이터 등), 마이크로 서비스(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개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쪼개어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든 아키텍처) 등을 제공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