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aster
[2022 공간빅데이터 경진대회] 3-4. DEM(수치표고모델) 업로드
이번 글은 앞선 [2022 공간빅데이터 경진대회] 3. 데이터 확보 및 DB 구축의 소스 데이터 중 DEM(수치표고모델) 데이터를 업로드 다운받은 소스 데이터 파일(.img)을 공간데이터(.shp)로 변형하여 업로드 코드 파일 첨부(github) 데이터 확인 Q

JPG & PNG
매일 생각없이 사용하던 jpg, png 확장자의 차이를 알아본다. 아무래도 지도와 관련된 일을 할 듯하여 정리가 필요하다. 이미지 파일 형식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표현하기 위한 파일 형식 Raster 색상정보가 담긴 픽셀로 표현 JPEG, GIF, PNG 등 Vector 수학식으로 이루어진 점, 직선, 곡선 등으로 표현 확대 및 축소에 자유로움 계산량이 많아 하지만 색상의 자연스러운 변화나 세밀한 표현이 어려움 AI, SVG 등 JP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정의: 정지 화상을 위해서 만들어진 손실 압축 방법 표준 핵심: 전체적 구조 손실보다 디테일 손실에 둔감하다는 점을 통해 압축 원리: 이미지의 고주파 성분의 일부를 제거함.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을 위해 이산 코사인 변환을 사용

Raster Image vs Vector Image
이미지를 사용할 때 어떤 이미지인지 파악한 이후에 적잘한 파일 형식(확장자)을 선택해야 합니다. 파일 형식은 jpg(jpeg), png, svg, gif, webp 등이 존재합니다. Raster Image & Vector Image 올바른 확장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aster Image인지 Vector Image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Vector Image는 vector 기반 이미지이며 확대를 하여도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 이미지이며, Raster Imgae는 픽셀 기반 이미지이며 확대를 하면 이미지가 깨집니다. 즉, 이미지를 확대했을 때 깨진다면 Raster Image, 안 깨진다면 Vector Image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Raster Image Raster Image는 비트맵, 픽셀을 채워서 만든 픽셀 기반 이미지입니다. 대표적인 파일 형식으로는 jpg(jpeg)와 png가 있습니다. 이 둘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jp
이미지 파일
웹페이지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이미지용량! 열심히 작성한 수백줄의 코드는 30%정도밖에 안된다니 .. 이미지 용량이 얼마나 거대한지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론트엔드라면 적절한 이미지 확장자를 사용하여 매끄러운 랜딩이 되는 웹을 만들어야한다👍 📌 벡터와 레스터 이미지는 크게 벡터이미지와 레스터이미지로 나뉜다. 쭈욱 확대했을때 깨지는 것 하나 없이 날카롭다면! vector image 반대로 확대했

Web에서 사용하는 Image들
비트맵 이미지와 벡터 이미지 웹에서 사용되는 이미지들은 크게 비트맵(Bitmap)과 벡터(Vector)로 나눌 수 있다. 비트맵 이미지는 레스터(Raster) 이미지라고도 부르는데 픽셀이 모여 만들어진 이미지이고, 벡터 이미지는 점, 선, 면의 위치좌표 값, 색상 등의 수학적 정보들로 이루어진 이미지다. 비트맵 이미지의 특징으로는 정교하고 다양한 색상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색을 표현해야되는 사진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대신 확대/축소 시에 계단 현상과 품질 저하가 있을 수 있다. 벡터 이미지의 특징은 위치좌표와 같은 수학적 정보들로 이루어진 이미지이기 때문에 확대 축소시에 해상도에 맞는 연산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