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ivate IP

TCP/IP - IP Part 1
🔌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의 약자.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들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 주소 IPv4 : 10진수로 표현, 총 32비트 | 8비트씩 4부분 203.252.32.23 IPv6 : 16진수로 표현, 총 128비트 | 16비트씩 8부분 1234:A3FD:3456:789A:0003:02CE:1234:4321 * IPv4로는 IP 수가 부족함. 그래서 IPv6 탄생 🔌 IP 주소 체계 IPv4 에서 사용하는 클래스 Network ID + Host ID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s/yejin25/post/64f701db-1362-4ff5-90
Public IP vs Private IP?
1. Public ip는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ip 주소임 전세계에서 유일함 인터넷에 연결 된 다른 pc로부터 접근이 가능함 2. Private ip는 집이나 회사등 안에서 라우터(공유기)에 의해 할당 된 ip주소임 local ip, 가상 ip 라고도 불림 ipv4의 부족으로 서브넷팅된 ip임 3. Private ip는 3가지 주소 대역을 가짐 1) class A : 10.0.0.0 ~ 10.255.255.255 2) class B : 172.16.0.0 ~ 172.31.255.255 3) class C : 192.168.0.0 ~ 192.168.255.255 + Static(고정)ip와 Dynamic(유동)ip의 차이?? Static ip는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
Private vs Public vs Elastic IP
IP는 IPv4와 IPv6 두 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IPv4 IPv4의 주소는 1.160.10.240 처럼 . 3개로 나누어진다 -> IPv4의 형태: 0-255.0-255.0-255.0-255 IPv6 IPv6의 주소는 1900:4545:3:200:f8ff:fe21:67cf 처럼 문자가 포함된 형태 아직 온라인에선 IPv4가 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IPv6는 IoT 문제와 새로운 기술 등에 사용된다 출처:

[기초CS/네트워크] Public IP & Private IP & NAT
IP(Inte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 IP address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와 통신한다. 라우터(Router) WAN네트워크와 LAN네트워크 사이에서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공유기도 네트워크의 일부이므로 IP주소가 부여된다. => Gateway address, Router address Public IP >전세계 누구나 접속 가능한 IP주소 라우터(공유기)를 통해 WAN(인터넷)로 접속하는 IP주소 인터넷에서 이용하는 IP주소 인터넷에서 통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공인 IP주소가 필요하다. Private IP >LAN안에서만 사용하는 IP주소 IPv4

자동으로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계정간 네트워크 공유 설정하기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계정(Tenancy)간 혹은 같은 계정이라도 VCN이 다르다면 Private IP로 통신할 수 없다. 물론 (임시) Public IP를 할당받아서 통신할 수 있지만, Kubernetes Cluster를 만드는 것 같이 Private IP로 통신하는게 필요한 경우가 있다. VCN이 다르면 당연히 Private IP로 통신할 수 없지만, LPG (Local Peering Gateway)를 사용하면 가능해진다. 단 이름부터 Local이기 때문에 같은 Region이어야지만 가능하다. Region이 다르다면 DRG(Dynamic Routing Gateway)를 사용해야한다. > 유료 유저라면 더 빠르고 SLO가 보장되는 연결 방법도 있지만, 평생 무료 유저에게는 LPG가 유일한 방법이다. LPG 공식 가이드 문서를 따라하면 구

[AWS 클라우드 Discovery] 04. 독립적인 나만의 가상 네트워크 공간 만들기 (VPC,Public Subnet, Private Subnet, VPC Peering)
📡 Network 네트워크란 net이라는 단어 + work (일)이라는 합성어로 연결해서 서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결합하여 생산적인 가치를 만드는 일을 말한다. 간략하게 말해서, 네트워킹을 한다라는 말은 서로 통신을 한다라는 말로 이해하면 될 것 같다.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켜야 하는 약속들이 있다. 예를 들면, 회사와 회사가 거래를 할 때에는 서로 간의 지켜야하는 조항 및 합의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계약서를 작성하여 양쪽에서 교환하고 거래를 성립하는 것처럼 서로 간의 통신을 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약속들을 준수하고, 교환함으로써 통신이 성립된다. 이렇게 통신을 위해 지켜야하는 약속들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 VPN(Virtual Private Network)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 의 약자로 큰 규모의 조직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보안성이 높은 사설 네트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