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V

볼륨
쿠버네티스에서 볼륨은 컨테이너 내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상 디스크이다. 이렇게 볼륨을 사용하면 컨테이너가 종료되어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하는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볼륨 종류는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PKOS 쿠버네티스 스터디 3주차 내용 정리
aws를 배우면서 EBS의 존재는 알았지만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이 있다는 건 잘 몰랐고 이번 기회에 어떤식으로 활용하는지 알게됐다.이번 실습에서는 c5d라인의 인스턴스를 사용했는데 위 명령어를 통해 인스턴스의 스토어 볼륨을 확인할 수 있고 콘솔창에는 별도로 시각적인

쿠버네티스 볼륨 사용법
emptyDir 빈 공간이라서, 파드내에서 컨테이너끼리 공유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hostPath 노드로 배포가 되는데, 노드가 호스트이다. 즉, 노드에 있는 디렉토리를 사용할 수 있다. N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PersistentVolume / Pe

K8S
ReadWriteOnce = 하나의 노드에서 해당 볼륨이 읽기-쓰기로 마운트 될 수 있다.ReadWriteOnce 접근 모드에서도 파드가 동일 노드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파드에서 볼륨에 접근할 수 있다.ReadOnlyMany = 볼륨이 다수의 노드에서 읽기 전용

Kubernetes 쿠버네티스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다.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 (desired state)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한다.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구글이 2014년에 쿠버네티스 프로젝

Minikube의 Dynamic Provisioning 이해하기
Minikube는 동적 프로비저닝을 지원하고 있는데, 나는 설정한 적이 없어요! 대체 어떤 기능이 동적 프로비저닝을 돕고 있는거죠? NFS로 프로비저닝 설정을 바꿀 순 없는걸까요?

[Kubernetes] 퍼시스턴트 볼륨(PV)과 퍼시스턴트 볼륨 클레임(PVC)
데이터베이스처럼 포드 내부에서 특정 데이터를 보유해야 하는, 상태가 있는(stateful)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할지 고민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포드의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쿠버네티스에서는 호스트에 위치한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