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 Layer

OSI 7 Layer 정리
통신에 관한 국제적인 표준기구인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라는 곳에서 만든 OSI 7 레이어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단계로 나누었다.OSI 7 계층은 다음과 같이 7가지로 나눌수 있다.통신이 일

[Network] L2 Layer의 핵심 요소
L1 ~ L2 : MAC adress (NIC 또는 LAN 카드를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따라서 만일 컴퓨터에 LAN 카드가 5개이면 MAC address도 5개이다) L3 : IP 주소 (host가 기준이다) L4 : port 번호 윈도우 명령어 ipconfi

네트워크 통신 규약
각 계층에서는 각각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를 가진 헤더를 추가한다. 이 과정을 캡슐화라고 한다. 반대로 수신할 때 각 계층별로 자신에 해당하는 제어 정보가 있으면 헤더를 제거한다. 이 과정은 역캡슐화 또는 비캡슐화라고 한다.

OSI 7 계층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 과정에서 네트워크 통신 트러블슈팅이 많이 생긴다. 이때 OSI 7 계층별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계층마다 통신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이를 해결할 수 있다.이는 OSI 7계층을 나눈 이유와 동일한 맥락인데,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OSI 7 Layer
TCP/IP : 인터넷으로 통신하는 데 있어 가장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프로토콜 :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OSI 7 Layer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이다.Untitled계층을 나눈

[5일차] OSI 7 Layer
이전에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OSI7계층에 대한 유튜브를 봤다. 상세한 내용은 아니지만 간단하게 이해한 대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정확한 내용의 정리는 인프런 HTTP 강의를 듣고 다시 해볼 생각이다. 확실하지는 않지만 기존의 OSI가 TCP/IP 에게 시장점유율에서

네트워크 통신모델, OSI 7 Layer(feat.TCP/IP 4 Layer)
intro 여태껏 API로 프론트엔드에 데이터를 서빙하면서도 요청과 응답사이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지 인지하지 못했는데, 비동기 처리에 대해 학습하기 시작하면서 네트워크에 대해 아는것이 필수적인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웹 프로그래밍에서 MTV, MVC 패턴은 soft
OSI 참조모델과 TCP/IP
그림으로 이해하는 네트워크 용어 를 요약한 내용입니다.네크워크 프로토콜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는 절차통신을 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한 것이자 컴퓨터끼리 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공통 언어방법 / 절차 / 언어라는 역할마다 계층 구조로 구분OSI 참조 모델(O

컴퓨터 네트워크의 계층별 역할 간편 요약
네트워크 구성요소를 7새의 계층으로 역할을 나눈 표준 모델각 계층별 역할을 통해 통신 규걱을 만족하위 계층은 하드웨어, 상위 계층은 소프트웨어로 구현OSI 7계층이 나오기전 널리 사용되던 사실상 표준 역할각 계층별 역할에 따라 역하리 나눠짐통신 자료를 최종적으로 전달하

OSI 7 layer 정리
ppt를 작성하면서 공부했던 내용을 정리하는 포스트입니다. 잘못된 것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OSI 7 Layer vs TCP/IP STACKOSI 7 계층과 TCP/IP 계층을 보면 조금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업데이트 버전으로 봤을 때 OSI 모델의

OSI 7 Layer이란?
OSI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