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rmalization
데이터 정규화
1 정규화 (1NF) 속성(Attribute)의 원자성 확보 기본키(Primary_Key)를 설정 다가속성 분리 : 같은 속성이지만 여러개 있음 복합속성 분리 : 의미적으로 다른 것이 함께 있음 을 분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분리를 하는 이유는, 테이블이 설계가 잘못 되어, 잘못된 함수 종속으로 인해서(데이터가 중복되는 등) 이상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를 해결하고자 정규화 과정을 거친다. 어떤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나요? 테이블에 데이터를 1. 삽입, 2. 수정, 3. 삭제 할때 부작용이 발생한다. (주의할...

Normalization/정규화 - 함수의 종속성
함수 종속성 함수 종속성은 DB에서 속성들간 종속 관계를 의미한다. 테이블의 필드들의 종속 관계는 불필요한 데이터 중복을 줄이고 더욱 논리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준다. 데이터 베이스에서의 함수 종속성을 정의하는 말은 다음과 같다. 어떤 테이블 A에 존

정규화 (1~3단계)
정규화 (normalization)데이터를 중복으로 저장하면 일관되지 않은 데이터, 비정상적인 삽입 갱신 삭제 처리, 디스크 공간 낭비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정규화는 중복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일으키는 문제점을 없애기위해 정보를 주제별로 분할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

논문 리뷰)Layer Normalization
이번에는 논문 리뷰를 한번 진행해볼껀데요많은 곳에서 필수 논문으로 여겨지고 꼭 읽으라고 권고하는Layer Normalization에 대해서 리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수식이 어마 무시하게 나오는데 수식은..... 아는 건 최선의 다해서 설명하겠지만,모르는건 과감히 패스하

Database - Normalization(정규화)
테이블 간 중복된 데이터를 허용하지 않는 것중복된 데이터를 만들지 않으면,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고, DB 저장 용량 또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데이터의 중복을 없애면서 불필요한 데이터를 최소화시킨다.무결성을 지키고, 이상 현상을 방지한다. 테이블 구성을 논리적이
[SQL] - 정규화, 반정규화, 분산 데이터베이스
SQLD를 준비하며 공부했던 내용으로, 2020 이기적 SQL 개발자(Developer) 이론서 + 기출문제를 참고했다.정규화: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방법이며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 확보, 정규화

이미지 Dataset에 대한 mean, std 구하기, 정규화
사진 이미지는 이미지 각각 명도, 채도가 다르기 때문에 학습하기 전에 학습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이미지 픽셀에 대한 평균(mean)과 표준편차(std)를 구하여 전처리 작업을 해준다. CIFAR10 data에 대해서 실습해보았다.result :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란?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의 의미만 존재하도록 릴레이션을 분해하는 과정이며,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방법이다.다양한 목적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첫째, 불필요한 데이터 (data redundancy)를 제거해 불

[Database] 정규화(Normalization)
이상이란 릴레이션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이나 데이터의 중복으로 인해 데이터 조작 시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테이블의 잘못된 설계로 데이터의 삽입, 갱신, 삭제 시 논리적 오류의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데이터의 중복을 제거하여 이러한 논리적 오류를 줄이는

[Computer Science] Database(Normalization , RDBMS, Key)
Normalization, RDBMS, Key
자연어처리(NLP)-05 (정제 및 정규화)
코퍼스에서 용도에 맞게 토큰을 분류하는 작업을 토큰화(Tokenization)이라고 하며, 토큰화를 위해 정제와 정규화 과정이 선행된다. 이들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정제(Cleaning): 현재 코퍼스로부터 노이즈 데이터를 제거정규화(Normalization): 같은

generalization, normalization, standardization
(사진 출처 : https://heeya-stupidbutstudying.tistory.com/entry/%ED%86%B5%EA%B3%84-%EC%A0%95%EA%B7%9C%ED%99%94%EC%99%80-%ED%91%9C%EC%A4%80%ED%99%9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는 우리가 필요한 방대한 양의 자료를 정리하는 시스템이다. 자료를 정리하는 스타일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양한 분류 기준이 있지만, 크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비-관계형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mongoDB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예시이다.

Redux) createEntityAdapter 이용해 스테이트 구조(State structure) normalize 하기
source code: https://github.com/kimava/journal리덕스로 상태 관리 + 파이어베이스 Realtime Data Base 사용파이어베이스 DB에서 posts(일기) 데이터를 받아와서 initial state에 넘겨줄 때, 오브젝트

[머신러닝] Data Scaling 데이터 스케일링
(주절주절) 열심히 정리하다가 ctrl+s를 눌렀어야 했는데 w를 눌렀나... 그러니 창이 꺼졌다. 임시저장도 안되어 있고... 어제는 서버에서 폴더명 바꾸려고 뒤에 ~ 붙이고 엔터치니 폴더가 숨겨져서 다른 분이 도와주셨다... 무튼 나중에 나중에... -2022.06

[DB] ERD와 normalization, 스타벅스 modeling 피드백
ERD는 무엇일까? normalization은 무엇일까? 저번 편에 이어 스타벅스 modeling을 좀 더 보완해 보자.

[ML]정규화(normalization)와 표준화(standardization)는 왜 하는걸까?
exploration을 진행하다보니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시키고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입력은 0 ~ 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 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라는 말을 봤는데, 그 말에대한 설명이 없어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 핵심만 먼저 말하자면, 정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