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Port

15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Kubernetes]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하는 다양한 방법들. (NodePort, LoadBalancer, 그리고 Ingress)

쿠버네티스에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배포가능한 가장 작은 컴퓨팅 단위를 Pod이라고 한다. Pod은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공유하고, 해당 컨테이너를 구동하는 방식에 대한 명세를 갖는다. 마치 docker-compose 를 통

2022년 9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쿠버네티스] Update Stretagy, NodePort, Ingress

update stretagy(rolling update, recreate), service(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ingress

2022년 9월 2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 노출법

간단 노출법 3가지 Port-forward 명령어 노드가 재시작하면 다시 설정해야한다. 테스트용, 확인용 / 계속되는 서비스용으로는 사용하기 어렵다. HostPort ![](https://velog.velcdn.com/images/chan9708/post/2f

2022년 8월 2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8S

ReadWriteOnce = 하나의 노드에서 해당 볼륨이 읽기-쓰기로 마운트 될 수 있다.ReadWriteOnce 접근 모드에서도 파드가 동일 노드에서 구동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파드에서 볼륨에 접근할 수 있다.ReadOnlyMany = 볼륨이 다수의 노드에서 읽기 전용

2022년 7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 쿠버네티스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다.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쿠버네티스는 선언적 구성 (desired state)과 자동화를 모두 용이하게 한다.쿠버네티스는 크고, 빠르게 성장하는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구글이 2014년에 쿠버네티스 프로젝

2022년 7월 13일
·
0개의 댓글
·

22.6.10 키워드 정리

Service(SVC) 객체로 들어온 내,외부 트래픽, 파드들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네트워크에 노출하는 가상의 컴포넌트. 구체적인 실체가 없고 오직 파드들 간의 네트워크 중계만을 수행한다. 1. ClusterIP (기본 형태) 파드들이 클러스터 내부의

2022년 6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ubernetes에서 외부로 서비스 포트 노출시키는 방법

웹서비스를 Nodeport를 이용해 외부로 노출시켜보자. 그리고 LoadBalancer를 사용해서 포트없이 ip로 접근할 수 있게 해보자.

2022년 5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EKS 노드 외부 접속(NodePort)

해당 포스트는 이전에 EKS 노드 그룹 생성과 연결되는 내용입니다. 혹시 포스트를 확인하시다가 모르는 부분이 있으시면 이전 포스트를 읽고 진행해주세요!오늘은 EKS로 생성한 노드 그룹에 노드 들에 Deployment와 Service를 각 노드에 실행시키고, NodeP

2022년 4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inikube kubeflow 내 minio service 포트포워딩

minio-service 상태를 확인해봅시다.minio는 보통 900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minikube service listminio-service의 서비스 타입을 LoadBalancer로 노출해줍니다.이전에 Minikube의 MetalLB addons가 활성화

2022년 4월 1일
·
0개의 댓글
·

쿠버네티스의 서비스 타입들

VM들 위에 k8s를 구성하면언더레이 네트워크: k8s 밑의 VM들은 할당된 IP 사용오버레이 네트워크: k8s의 파드들도 IP는 필요함파드 내부의 컨테이너 IP의 경우, 컨테이너는 죽었다 살았다를 반복하기 때문에 고정 IP를 줄 수 없음 그렇기 때문에 사설 아이피를

2022년 1월 14일
·
0개의 댓글
·

Nginx K8S Cluster 수동배포

K8S Resource 파일인 Service(NodePort),Deployment yaml 을 작성하고, K8S 기초 명령어인 apply 사용하여 직접 pod 를 배포해보았다.Service,Deployment,Pod 정상 상태확인 후Nginx 기본 Page를 http&

2022년 1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8S/Cilium] IPVLAN 기반 Cilium 의 NodePort 버그 분석

Cilium 에서 제공하는 IPVLAN 기반의 Routing Datapath 기법을 사용하던 중 NodePort 관련 버그를 발견하였다. (NodePort 는 모든 노드의 지정된 포트로 접속하면 백엔드(선택된 Pod)로 연결해주는 서비스이다.) IPVLAN 을 사용하는

2021년 6월 3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8S/Cilium] NodePort 서비스

외부에서 쿠버네티스 서비스에 접근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NodePort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NodePort 서비스를 생성하면 30000~32767 사이의 임의의 값이 포트 번호로 할당되고, 선택된 Pod 이 어디에있든 상관없이 모든 노드에서 해당 포트

2021년 5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디플로이먼트 노출시키기

앞서 생성한 디플로이먼트를 외부로 노출시켜본다.노드 포트(NodePort)는 고정 포트(NodePort)로 각 노드의 IP에 서비스를 노출시킨다. 노드포트 서비스가 라우팅되는 ClusterIP 서비스가 자동으로 생성된다.디플로이먼트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리소스를 외

2021년 4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2. 오브젝트 (Objects)

쿠버네티스에서 Pod를 그냥 띄우는 경우는 사실 거의 없다. 실제로는 클라이언트가 도메인을 통해 접속을 하면, 로드밸런서를 거쳐서, 노드포트를 거쳐서, 클러스터IP를 거쳐서, Pod로 연결된다. ➡️ 진정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2021년 2월 16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