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TP
서버 시간 동기화
운영중인 시스템의 방화벽 정리 중 123과 37이 둘 다 시간 동기화와 관련된 포트인 걸 알게돼서 찾아보니 재밌어서 기록하려고 한다. 서비스 변화 rdate(37) -> ntp(123) -> chrony(123,323) rdate/ntpd 차이 rdate의 time server은 단순하게 서버의 시간을 맞추는 거고 ntp server은 다른 ntp서버들을 보며 시간의 정확성까지 높인다라고 https://kldp.org/node/129309 chronyd chronyd에는 두 개의 포트가 있습니다. 하나는 udp 323이고 다른 하나는 udp 123입니다. udp 123은 클라이언트의 NTP 요청을 수신 대기하는 포트입니다. udp 323은 chronyc가 사용되는 포트입니다.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5716751 ntp/chrony 차이 https://info-lab.tistor

에러 : google.auth.exceptions.RefreshError: ('invalid_grant: Invalid JWT:
errordetails, responsedata, retryable=retryable_error google.auth.exceptions.RefreshError: ('invalidgrant: Invalid JWT: Token must be a short-lived token (60 minutes) and in a reasonable timeframe. Check your iat and exp values in the JWT claim.', {'error': 'invalidgrant', 'error_description': 'Invalid JWT: Token must be a short-lived token (60 minutes) and in a reasonable timeframe. Check your iat and exp values in the JWT claim.'}) 에어플로우 돌리는 중에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 혹시나 고생할 다른 이들을 위해 남겨둔다. 자꾸 에어플

#NTP #Network #Time #Protocol #NTP서버 #시간동기화서버
🧨NTP서버란? Network Time Protocol의 약자로서 네트워크로 구성된 환경에서 운영되는 시스템들간 시간동기화를 위한 규약으로 NTP서버를 통해서 통신하고 있는 모든 서버의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함에 있다. 서버라기 보다는 시각 동기화장지라고도 한다.
[CentOS7] 시간 동기화
CentOS 7 시간 동기화 하드웨어 시간 확인 시스템 시간 확인 하드웨어 & 시스템 시간 동기화 NTP NTP & Chrony

[Ubuntu 20.04] 우분투 NTP 시간 동기화 설정
제가 한 번 Ubuntu OS의 시스템 시간을 대한민국의 시간으로 맞춰보겠습니다. - NTP ❓ Network Time Protocol의 약자이며,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의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NTP 설치하기 📀 > - sudo apt-get install -y ntp 설치가 완료되면 /etc 경로에 ntp.conf 라는 ntp 설정파일이 생성됩니다. - NTP 서버 설정하기 ⚙ > 1. ntp.conf 파일 열기 sudo vi /etc/ntp.conf 노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주석(#) 처리 후 server 203.248.240.140 iburst 입력하고 저장! 
[Flutter] 서버 시간 기준으로 앱 구동하기(feat. NTP)
Flutter의 DateTime 플러터 앱을 제작하면서 시간을 다룰 때 대부분 DateTime 클래스를 사용한다. 현재 시각이 기준점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DateTime.now()로 간단하게 현재 시각을 알 수 있다. 하지만, DateTime.now()를 통해 얻는 시간은 로컬 기기의 시각. 즉,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날짜/시간 설정을 변경하면 바뀌게 된다. 상단 사진처럼 수많은 시계들이 각각 자기만의 시간을 가지고 있다. 특정 서비스를 위해서는 이런 수많은 시계들을 동기화시켜 같은 시간을 가지도록 해야할 때가 많다. 클라이언트 앱에서 서버 시간을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변경하면서 찾아본 내용들을 정리하고자 글을 쓴다. NTP(Network Time Protocol) > PC 혹은 서버간의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