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LU

GLUE - 이것은 "풀"이 아니다 (자연어 이해 벤치마크를 파헤쳐 보자!)
GLUE는 자연어 이해 모델에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성능지표이다. GLUE를 파헤쳐 보자!

[NLP] NLU - Linguistic Acceptability(언어적 용인 가능성)
저번 시간에, NLP 자연어처리 분야에는 크게 NLU와 NLG로 나눠진다는 개념을 살펴보았다. NLG라는 Natural Language Generation에 관심이 많기에 자연어를 생성하고 이를 문법적으로 보좌할 수 있는 NLU의 Linguistic Acceptabil

NLU 기술 상용화 이해
자연어 이해(NLU,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는 사용자의 의도가 무엇인지 기계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Sequence Labeling어떻게 문장의 의도(목적)을 알아낼까?1\. R

NLU 의미 이해 방법 Semantics
Distributional Semantics: Semantically similar words occur in similar context \-> Semantic Role Labeling모든 상황을 다룰 필요는 없음Language as Programs

NLU 기술이란? 자연어 특징
사람의 언어를 입력으로 실제 의도를 분석하는 기술과 이러한 기술의 상용화 과정을 이해해보자.자연어 이해 기술이란? 기계가 사람의 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자연어 이해 기술의 목적: 가장 인간 같은 기계Turing Test에 대한 비판자연어 이해 기술의 목적: N

BERT - Pre-training of Deep Bidirectional Transformers for Language Understanding
BERT는 대표적인 NLU 태스크에 적합한 pre-trained 모델이다. bert는 양방향 인코더를 활용해 레이블이 없는 자연어를 학습시켜 단순하게 마지막에 가까운 레이어만 fine tuning하면 당시 QA 등의 다양한 SOTA를 달성할 수 있었다. BERT는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