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IC
총 8개의 포스트

네트워크 - 네트워크 기기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나누면 아래와 같다. 물리 계층 처리 가능 기기데이터링크 처리 가능 기기그리고 상위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로는 불가능하다.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로는 L7 스위치가 있다.L7 스위치는 로드밸런서
2023년 2월 27일
·
0개의 댓글·
0[Kubernetes] TS: no default routes found, cannot use "0.0.0.0"
현재 route 상태 확인 대부분이 default route 가 없는 상태에서 발생 혹은 NI(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인 환경에서 발생 default route 추가혹은 kubeadm 에서 ip 를 지정해서 실행
2023년 1월 30일
·
0개의 댓글·
0
Network Bonding / VLAN
프로젝트 중, 네트워크가 bonding되어있는 상태. 잘 모르는 부분이라 이해가 필요. bonding, ethernet, NIC 등등 일단 bonding 정보는 아래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cat /proc/net/bonding/bond0 Ethernet Ch
2022년 8월 20일
·
0개의 댓글·
0
#44. 물리서버
CPU, 메모리, HDD, NIC, 버스(BUS) 등 물리서버 내부구조에 대해 살펴봅니다. 더 나아가서 외부 장치로부터 오는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는지 데이터 흐름과 병목현상에 대해 살펴봅니다.
2022년 2월 25일
·
0개의 댓글·
0Ubuntu18.04 network interface name 변경
Ubuntu에서 설치된 하드웨어 NIC의 기본이름은 eth0이 아니다. 따라서 NIC 이름을 eth0로 식별하는 일부 상용 프로그램이나 리눅스용 데몬에서는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대한 정보를 찾지 못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원래 사용되던 eth0 이름으로
2021년 11월 8일
·
0개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