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nyToManyField

[Django]ManyToManyField
자동으로 중간 테이블을 설정정참조와 역참조 객체 호출정참조의 경우 : 속성으로 접근역참조의 경우 : \_set 또는 related_name 으로 접근위 두가지 방법 모두 결과는 아래와 같다.ManyToManyField()사용하면 별도의 중간테이블을 만들지 않아도 자동으

[Django]ManyToManyField(feat.views.py)
http -v GET 127.0.0.1:8000/movies/actorhttp -v GET 127.0.0.1:8000/movies/movie

[Django]ManyToManyField(feat.models.py)
📍ManyToManyField 내가 만든 테이블은 actors와 movies 2개지만 ManyToManyField()을 사용하여 actors_movies 라는 테이블이 자동을 생성되었다. 테이블은 id,actorid,movieid로 구성되어있다. 테이블 결과물
장고 ManyToManyField 정리
장고 model의 ManyToManyField는 유용하긴 하지만 헷갈리는 것들이 많아 정리가 필요하다먼저 왜 foreignkey대신 manytomanyfield를 써야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영화배우와 영화의 관계나 피자와 토핑의 관계같은걸 연상하면 쉽다. 둘 다 다대다

select_related, prefetch_related, ManytoManyField
Models.pyFunction : book_listNumber of Queries : 101Finished in : 0.08sFunction : book_listNumber of Queries : 101Finished in : 0.08sFunction : sto
[django] C.R.U.D 2 (2) 배우와 영화 (feat. manytomanyfield)
django - C.R.U.D 2 2편 배우 테이블과 영화 테이블을 만들어서 N:N 관계의 테이블과 해당 앱을 완성시켜 보자. 기존에는 ForeignKey를 사용해서 테이블 관계를 형성했는데, 이번에도 ForeignKey를 우선 먼저 사용해봤다. ForeignKe
M : M 와 models.ManyToManyField()
이전 추가 과제인 actor와 movie를 다대다 관계로 class를 작성한 후 DB에 데이터를 입력해보는 과제할당시에, 메인과제까지만 진행해서 다대다에 관련된 model을 작성을 처음하면서 내가 이해한 것을 기록해보려고 한다.여러개가 여러개를 참조하고 있다.ex) \
Django ManyToManyField TIL
$movie$models.py영화배우와 영화가 N : N 으로 연결되있는 모델이다.Actor 인스턴스와 Movie 인스턴스가 다대다로 연결 시 Junction Table을 생성하여야 하지만 models.ManyToManyField를 통해 따로 테이블을 만들 필요가
2021.04.30
1\. 등록된 배우 목록을 리턴해주는 GET 메소드를 구현해주세요배우의 이름, 성, 그리고 출연한 영화 제목 목록2.등록된 영화 목록을 리턴해주는 GET 메소드를 구현해주세요.영화의 제목, 상영시간, 출연한 배우 목록 (이름만)models.pyactor테이블은 movi
2021.04.27
코드카타2번 🥠문제 reverse 함수에 정수인 숫자를 인자로 받습니다. 그 숫자를 뒤집어서 return해주세요. x: 숫자 return: 뒤집어진 숫자를 반환! 예들 들어, number: 1234 return: 4321 number: 1234 return: 43

ORM🏹: 장고 ManyToManyField
./blog/models.py위의 모델을 migrate하면 DB에는 어떤 테이블들이 생길까?blog_blogblog_authorblog_entry그리고 Entry에 ManyToManyField 설정을 생긴!blog_entry_authorsblog_blogCREATE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