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CP

14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Optimization] ALOG 웹 서비스 성능 개선 - LCP 최적화

✨ Alog 웹 서비스에서 LCP를 개선하여 성능 향상해보기

2023년 11월 1일
·
0개의 댓글
·

Core Web Vitals

코어 웹 바이탈(Core web vitals)은 웹 페이지 로딩 속도, 모바일 친화성, 세이프 브라우징, 암호화(HTTPS적용 여부), 방해요소 여부 등 웹 콘텐츠 이용자의 사용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측정 가능한 값들 중에서 구글이 중요하다 강조하는 3가지 메트

2023년 9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이미지만 바꿔도 성능이 좋아진다

아주 간단한 최적화 방법

2023년 7월 31일
·
1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알고보니 너무나 간단한 LCP 개선 사례

학습용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만해도 90점대 성능 점수를 보였는데 오랜만에 측정한 Performance 점수는 매우 낮아져 있었다. 이번 글은 성능 이슈의 원인이었던 LCP를 아주 간단히 개선했던 사례를 소개하려고 한다.

2023년 2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Largest Contentful Paint

참고자료 https://web.dev/i18n/ko/lcp/ LCP란? google에서 제시한 core web vitals 지표 중 하나 페이지가 처음 로드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뷰포트 내에 있는 가장 큰 이미지 또는 텍스트 블록의 렌더링 시간 google에서

2022년 12월 2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웹뷰 최적화 만점을 위한 노력 -2-(IntersectionObserver, Token provider, Prefetch, font, Lcp, Lighthouse)

개선 후 개선 전 > 만점에 가까운 라이트 하우스 점수 쨖쨖 👏 어니언은 앱 서비스이지만, 웹의 장점이 필요한 페이지는 vue를 이용하여 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에 앱에서 웹뷰 페이지를 로드할 경우 이질감 없이 로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2022년 12월 9일
·
4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Vitals 에 대해 알아보자

웹 최적화. 많이 들어봤지만 파고들지는 않았다. 프리온보딩에서 언급되어 한 번 공부해보기로 했다. web vitals는 더 나은 사용자경험을 위해서 구글에서 주요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일종의 기준을 의미한다.여러가지 지표가 있지만 여기선 3가지를 알아보려고 한다.FID

2022년 10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프로젝트 LCP 최적화 (feat. Font)

현재 유지/보수 중인 서비스의 performace를 체크한 결과 LCP에서 큰 font 용량으로 인한 딜레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리하고 개선한 기록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에 투입된지는 한 달가량된 상태입니다.)최근 공부하게 된 LCP를 개선해보고 싶어 현재 서비스 중인

2022년 10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𝙏𝙧𝙞𝙚

트라이의 정의 및 접미어 트라이 적용 사례

2022년 8월 4일
·
0개의 댓글
·

SOLID 원칙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하고 클래스의 모든 기능은 그 책임을 수행하는데 집중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어떤 변화에 의해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함을 의미한다. 하나의 클래스가 여러 원인에 의해서 변경이 잦다면 각 책임을 별도의 클래스로 분할

2022년 5월 9일
·
0개의 댓글
·

덩어리 콘텐츠 빨리 그리기

구글이 선택한 성능 지표, LCP에 대해 알아보기

2022년 4월 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최적화] 핵심적인 웹 지표(LCP,FID,CLS) 개선하기

🐻 : LCP, FID, CLS 에 대해서도 정리해주신다고 했잖아요! 그리하여 웹 성능 최적화 포스팅의 연장. 웹 성능 최적화 V2 ⚡️ 핵심적인 웹 지표 개선하기.

2022년 3월 31일
·
3개의 댓글
·

[리액트] LCP - Largest Contentful Paint

최대 콘텐츠풀 페인트(LCP, Largest Contentful Paint)는 페이지의 메인 콘텐츠가 로드되었을 때 페이지 로드 타임라인에 해당 시점을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감지하는 로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사용자 중심 메트릭입니다. LCP가 빠르면 사용자가

2022년 2월 28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