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DE

2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Techit 8th 1st

JAVA IDE 기계어와 어셈블리어 컴퓨터도 마찬가지로 0과 1의 조합으로 사용자의 모든 행동을 이해한다. 컴퓨터에서는 주로 CPU가 그 역할을 도맡아서 진행한다. CPU는 컴퓨터에서 특정한 전기 신호를 입력받아 연산을 한다. 이 전기 신호는 0과 1로 이뤄져 있으며, 그 조합에 따라 덧셈을 하거나, 뺄셈을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의 판단을 CPU가 내리게 된다. 이 0과 1로 이뤄진 명령어를 기계어라고 한다. 위 예시의 binary 라고 되어 있는 부분의 내용이 CPU가 실제로 이해하는 언어의 모습(의 예시)라고 보면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0과 1로만 이루어진 기계어를 보면 가독성이 떨어지고 코드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기계어를 그나마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인 어셈블리어라는 형태로 바꿔 해석하는 방법을 마련했다. 기본적으로 어셈블리어는 한줄 한줄이 기계어 명령에 대응하는 형태로 만들어지고, 거기에 더해 몇

2023년 6월 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JVM, JDE, JDK

컴파일 언어가 바뀌는 과정 이 과정도 언어가 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컴파일이라 할 수있다. ex) python -> java 컴파일러 컴파일을 돌리는 주체 실제 컴파일을 돌려주는 주체이다. 버튼을 누르면 실제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바이트코드 0,1 로 이루어진 코드 컴파일러에게 변환된 인간이 알아볼 수 없는 0,1 코드 JVM 운영체제마다 바이트코드를 읽는게 다릅니다. c언어 같은 경우 운영체제마다 각각 맞는 컴파일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java는 다릅니다. 운영체제 들어가기전 한 단계 더 거치게 설게되었습니다. java는 컴파일러 단에서 os에 맞춘 컴파일을 해주는것이 아닌 모든 os의 공동된 컴파일 과정을 거친후 jvm이 각 운영체제가 해석할 수 있는 양식으로 번역해줍니다. ![](https://images.velog.io/image

2022년 1월 2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