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Pv6
aws IPv4, IPv6 dual-stack 적용
predescription tgw를 통한 S2S VPN 연결을 통해 AWS에 대한 온프레미스 연결과 AWS와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 간의 AWS Direct Connect connection으로 구성된 간단한 hybrid 네트워크에서 IPv4와 IPv6를 지원하는

서브넷팅과 VSLM (네트워크1)
서브넷팅과 VSLM IPv4 > IPv4는 32bit의 크기를 가지며,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분되어 10진수로 나타내어진다. 주로 네트워크 장치에 할당하는 IP 주소를 의미하며, 이 주소는 사설 IP 대역과 공인 IP 주소 대역으로 나뉘어진다. 네트워크 장치가

9. IPv6에 대해 배워보자
홈 네트워크를 인터넷에 연결할 때에는 브로드밴드 라우터의 WAN 포트에 ISP로부터 공인 IP가 할당된다.공인 IP할당은 계층적으로 관리되는데 최상위 ICANN의 공인 IP 재고가 2011년 2월 3일에 고갈됐다.이미 공인 IP 주소를 할당 받은 경우엔 영향이 없지만

IPv6
① 주소체계가 글로벌하다. IPv6는 IPv4 32비트의 4배인 128비트로써 얼핏 보면 별로 커 보이지 않지만 2^128개는 무한 수(∞)이다. 바다의 모래알보다 더 많은 주소가 가능하므로 현재 인터넷 인구를 5억으로 잡아도 1인당 약 230개 정도의 IP주소를 가

Subnetting & Subnet Mask & IPv6
IP\_주소 지정 법을 알아보자. 네트워크층에서는 논리적 주소를 사용해서 네트워크상의 호스트들을 구별한다고 했는데 통신하고자 하는 호스트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지 아니면 다른 세그먼트에 있는지 결정하는 것은 네트워크층의 책임이다. 다른 세그먼트에 있다면 적절히 설정
[CS스터디] 네트워크 계층,제어
OSI 7계층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며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놓은것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눈에 들어올수있도록 단계별로 파악 1계층: 물리계층 (Physical Layer) 2계층: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하향식 접근 3) Network layer
네트워크의 근본적인 역할은 매우 단순.네트워크 레이어 장비인 라우터가 가지고 있는 기능송신 호스트 → 수신 호스트로 패킷을 전달이를 위한 네트워크 계층의 중요한 2가지 기능하지만, 사실 이 두 가지 단어는 혼용되기도 함.포워딩(데이터평면, HW)패킷이 라우터의 입력 링

IP 종류와 차이점
IP(Internet Protocol) 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 장비, 스마트폰 등)을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게 부여되는 고유 주소입니다.IPv4는 32비트로 이루어져있고 약 43억개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아직까지도 가장 많

ipv6 + dhcp + cloudformation
오늘 나는 ipv6 + dhcp를 cloudformation stack을 통해 생성하는 작업을 성공하였다. 아래는 내가 stack을 생성할때 참고한 게시물들이다. > vpc: https://docs.aws.amazon.com/codebuild/latest/usergui
IP란?
사전지식 인터넷의 원리 들어가기에 앞서 위와 같은 사진을 본 적 있는가? 나는 대학생 시절 기숙사에 거주했는데, 노트북에 저걸 수동으로 등록해줘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었다. 기숙사 방을 바꿀 때마다 저 정보를 새롭게 등록해줘야 했는데 숨이 턱턱 막혔다. 개발을

[컴퓨터 네트워크] IPv6
✔기존 IPv4에서 주소공간이 부족해졌기 때문에 주소공간의 길이를 더 늘린 IPv6가 등장하였다.v6 주소는 기존 32비트의 IPv4 주소가 고갈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새로운 128비트 체계의 무제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말한다. IPv6 주소는 다음 그
URL & URI / IP & PORT / 도메인과 DNS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한 URL은 서버가 제공되는 환경에 존재하는 파일의 위치를 나타낸다.CLI 환경에서 폴더와 파일의 위치를 찾아 이동하듯이, 슬래시(/)를 이용해 서버의 폴더에 진입하거나 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URL은 scheme, hosts, url-path로
IP에 관하여
인터넷에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었으나, 오늘날에는 IPv6이 대중화되었다.IPv4는 3자리수 4개, 총 12 자리를 갖는다.각 부분은 0~255까지로 표현된다. 따라서 32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로 인해 주소공간의 고갈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NCP에서 Ubuntu에 nginx 설치 시 [ E: Sub-process /usr/bin/dpkg returned an error code (1) ] 오류가 나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조금만 올려보자.해당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nginx가 실행되었다가 오류가 난 것이다.nginx는 설치 시 제대로 설치가 됐는지 1회 실행을 시킨다. 오류가 나서 실행되지 않은 것을 보이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설치가 된 상태이다.그러나 sudo

[AWS] IP네트워크와 서브넷
IP 주소는 흔히 사용되는 IPv4와 IPv6 두 종류가 있다. 주로 사용되는 IPv4의 경우 32bit로 되어 있기 때문에 IP 주소를 약 43억 개를 만들 수 있는데, 인터넷이 널리 보급되면서 IP 주소가 부족해지자 새로운 주소가 필요해 IPv6가 탄생했다. IPv

🌱 IP? IPv4? IPv6?
IP(Internet Protocol)이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장치들(컴퓨터, 서버장비, 스마트폰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장비에 부여되는 고유 주소이다.IP주소는 IPv4,IPv6 2가지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IP 주소라 하면 IPv4 주소를

IP의 주소체계
네트워크 장치들은 각각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택배를 생각해보자. 주소를 기반으로 택배를 주고 받는 것 처럼, 네트워크 장치들도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 때, 주소는 IPv4, IPv6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