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igh Availability

6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Apache Kafka, 핵심 요소별 고가용성 정리

지난 포스팅에선 카프카의 구성 요소들과 역할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며 고가용성에 대한 언급을 드렸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카프카의 주요 요소인 Zookeeper, Producer, Topic-Partition, Consumer가 어떻게 고가용성을 유지하는지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먼저, 각 요소들의 특징을 설명하기에 앞서 고가용성에 대해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고가용성(高可用性, HA, High Availability)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2023년 6월 6일
·
0개의 댓글
·

AWS HA(High Availability) Architecture 구축 기록

1. 기술 적용 배경 서비스 운영중 드물게 WAS가 실행되고 있는 EC2가 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경우 현재 아키텍처에서는 fail over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Availability를 높이는 방향의 아키텍처 설계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2. Architecture Design point High Availavility 적어도 둘 이상의 Availavility Zone에 instance가 분포 하도록 합니다.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통해 부하를 WAS로 향하는 요청을 분산시킵니다. Auto Scaling Group을 적용하고 WAS의 Scaling 정책은 Dynamic Scaling cpu50% 이상인 경우로 적용했습니다..

2023년 1월 17일
·
1개의 댓글
·

AWS 강의 정리 (6)

CloudFormation when encounters an error, it will rollback with ROLLBACKINPROGRESS 너무 커서 S3를 통해서 import 해야함 At least one resource is required Infrastructure as Code (IaC) the process of managing and provisioning computer data centers automatically through machine-readable definition files(ex: json, YAML) rather than physical hardware (자기들이 원하는 규격을 코드로 관리), Resources(Mandatory) 에다가 원하는 서비스 적으면 됨 (7:26) CloudWatch A collection of monitoring services for logs, Dashboards, Al

2022년 7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MongoDB ReplicaSet 호스트명 변경하기

ReplicaSet은 MongoDB의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시스템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갖는 mongod 프로세스들의 그룹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1개의 Primary 멤버와 데이터 복사본을 갖는 다수의 Secondary 멤버들로 이루어집니다. 최근 공인 IP로 운영 중인 ReplicaSet을 사설 IP로 변경하는 업무를 진행했습니다. MongoDB를 Standalone하게 운영할 경우에는 문제가되지 않지만, ReplicaSet으로 운영할 경우에는 아래의 방법

2021년 4월 7일
·
0개의 댓글
·

[란] Availability, High Availability 란?

1. Availability (가용성) > Availability = Uptime / ( Uptime + Downtime ) 가용성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말한다. 1.2 High Avilability (고가용성) 정보기술에서, HA란 바람직한 정도로 긴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나 컴포넌트를 가리킨다. 가용성이란 흔히 "100% 가용"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측정되거나 또는 "절대 고장나지 않음" 등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널리 쓰이고 있지만 달성하기 결코 쉽지 않은 시스템 및 제품에 대한 가용성 표준에 흔히 "파이브 나인" (five 9) 이라고 부르는 99.999%의 가용성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웍은 전체의 운영을 위해 모두가 사용 가능한 상태로 있어야만 하는 가능한 수많은 부품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고 가용성에 대한 많은 계획들이 백업이나 장애극복 처리 및 데

2020년 8월 14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