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FLOW

소스코드 방법론 GitFlow , TBD
프로젝트 관리 GitFlow와 이를 기반으로하는 방법론들과 TBD에 대해 알아보자. GitFlow 및 GitFlow 기반의 방법론과 TBD는 지향하는 바가 다르다. 상이한 관점과 모든 방법론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져야할 개발 방향에 대해 알아보자. Git Flow Main 배포 대상 Develop 개발 브랜치 Feature 단위 개발, 단기 개발 Release main 병합 이전, 테스팅과 수정 진행 Hotfix 긴급한 버그 수정 main, develop에 병합한다. 안정적 / 역할 구분 명확 / 복잡한 구조 / 관리가 어려움 GitLab Flow Main 배포 대상 항상 최신 안정 버전일 것 Develop 개발 브랜치 Feature 단기 기능 개발용 github gitflow 그 사이 GitHub Flow Master
github repo 관리 고민
이전 github Rebase and Merge를 사용하지 말자에서 github의 Rebase and Merge로 고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나만의 결론을 내렸다. > github의 Rebase and Merge는 git의 Rebase와 다르게 동작하며, 양 branch의 commit history가 독립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삭제하지 않을 branch 간의 통합에 Rebase and Merge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Squash and merge를 대신 사용하겠다. 그 글을 읽은 사람은 아마도 꽤 당황했을 것이다. 어설픈 결론의 배경 git-flow를 유지하면서 깔끔한 linear history를 만들고 싶
11. git flow, github flow, gitlab flow 의 개념
1. Git Flow (사진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w2r0oLFtXAw) git flow 는 총 5 종류의 브랜치를 활용한다. 주의할 점은 master, develop 은 각 브랜치가 영구적으로 존재하지만, hotfix, release, feature 브랜치의 경우 필요할 때마다 브랜치를 만들고, 머지가 되면 삭제된다. 전체적인 merge 순서는 다음과 같다. (merge 할 때는 항상 —-no-ff 옵션을 붙안다.) feature → develop → release → master master 브랜치 (main 브랜치)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이 존재하는 (배포될 코드가 있는) 브랜치이다. release

🚀Git-Flow / branch Strategy
📖 1. Definition 브랜치 전략은 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저장소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저장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워크플로우이다. 기존의 형상관리에 브랜치 전략을 도입시킨다면 , 여럿이 함께 관리하는데 있어 공통된 규약을 지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코드를 작성하고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드는 많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브랜치 전략의 종류로는 Github-flow, git-flow, gitlab-flow 등이 있다. 이중 git-flow를 해당 flow가 지닌 branch 위주로 설명해보고자 한다. 🌈 2. Branch의 종류 ⚪ 2.1. Main Branch

git flow vs github flow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브랜치 전략을 사용해보고 느낀점을 적어보려고 한다. 브랜치 전략? 브랜치 전략은 협업을 하는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a라는 사람은 서울에 있고 b라는 사람은 부산에 있다고 해보자 두명은 만나서 협업하기 힘들것이다. 하지만 이 브랜치 전략을 미리 세워 놓는다면 두사람은 별다른 충돌 없이 협업을 할 수 있다. git flow >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출처 : https://techblog.woowahan.com/2553/ 협업 인원이 많다면 매우 추천하는 방법이다. 브랜치는 총 다섯개로 운영된다. master : 최종 브랜치 이자 배포가 가능한 상태의 작업물 hotfix : master 브랜치에서 문제가 생겼을 경우 버그를 고
GitHub Flow
git flow를 알게된 이후에 브랜칭 전략은 면접을 위해서 이기도 하지만 실무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github flow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다. > Github Flow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단순한 워크 플로우로서, 여러 개의 버전 관리가 필요 없는 소규모 프로젝트에 더 적합하다. github flow의 전체적인 플로우와 함께 git flow와의 차이점을 정리해보려 한다. 일단, github flow에는 develop, release 및 hotfix 브랜치가 없다. master 브랜치와 feature 브랜치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순서 위주로 작성할 예정이다. 1. 브랜치 생성 작업할 feature 브랜치는 master 브랜치에서 생성된다. 브랜치를 생성함으로써 master 브랜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작업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작업이 가능해진다. 브랜치명은 구체적으로 지어야 동료들이 작업 현황을 이해하는데 도움

git-flow, github-flow, gitlab-flow (1)
git flow 📎 우린 Git-flow를 사용하고 있어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장점 명령어가 나와있다. 웬만한 에디터와 IDE에는 플러그인으로 존재한다. 단점 브런치가 많아 복잡하다. 안 쓰는 브런치가 있다. 그리고 몇몇 브런치는 애매한 포지션이다. github flow master 브런치는 어떤 때든 배포가 가능하다. master 브런치는 항상 최신의 상태이며, stable 상태로 Product에 배포되는 브런

git-flow, github-flow, gitlab-flow (0)
git 명령어 develop 변경사항을 feature로 가져오기 📎 우린 Git-flow를 사용하고 있어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작업을 할 때 브랜치의 수명은 되도록 짧게 가져가는 게 좋지만, feature 브랜치에서 기능을 완료하는데 해야 할 작업들이 많아서 오래 걸리는 경우 들이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develop에 추가된 기능들이 필요한 경우가 종종 생기게 됩니다. 그럴 때는 feature 브랜치에 develop의 변경사항들을 가져와야 합니다. feature-user 브랜치에 upstream/develop 브랜치를 merge 합니다. > 💡 git fetch : 최신 커밋 내역을 가져온다. merge는 하지 않는다. > [📎 Git fetch : fork한 저장소를 원래 저장소의 최신 커밋 내역으로 바꾸기](https://chanhuiseok.github.io/posts/git-

git flow vs github flow 차이?
Git Flow Main branch Feature branch Release branch (Hotfix branch Master > 최종 단계 메인 브랜치 , 배포 가능한 상태만을 관리 Tag를 통해 버전 관리를 한다. (1.0 -> 1.0.1 -> ....) develop > 모든 기능이 추가되고수정되어 배포 가능한상태라면 develop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에 병합 개발이 이루어지는 곳 feature > 기능을 개발하는 브랜치 개발이 끝나면 develop 브랜치로 병합 
Git Flow, Github Flow, Gitlab Flow
Git Flow > 가장 최초로 제안된 Workflow 방식이며, 대규모 프로젝트 관리에 적합한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Branch 구성 feature develop release hotfix master https://camo.githubusercontent.com/4aa46830c32e5ef7655be7b10ab77bd6a9939e31284a8ecca710cef12fd564ec/687474703a2f2f6e7669652e636f6d2f696d672f6769742d6d6f64656c4032782e706e67 feature deve

Git - Branch
Branch 브랜치 전략 여러 개발자가 협업하는 환경에서 한 개의 git 저장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work-flow 브랜치의 생성, 삭제, 병합이 자유로운 git의 유연한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소스 관리를 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브랜치 전략 git-flow: 5가지의 브랜치를 이용해 운영하는 브랜치 전략 github-flow: main 브랜치와 Pull Request 를 활용한 단순한 브랜치 전략 git-flow 많은 기업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브랜치 전략 항상 유지되는 2개의 메인 브랜치와 역할을 완료하면 사라지는 3개의 보조 브랜치로 구성 메인 브랜치: 항상 유지됩니다. main: 제품으로 배포할 수 있는 브랜치 develop: 개발자들이 개발하는 브랜치 보조 브랜치: merge 되면 사라집니다. 사용을 마치면 브랜치 삭제

[Git] Git flow, Github flow
https://www.youtube.com/watch?v=EzcF6RX8RrQ https://ujuc.github.io/2015/12/16/git-flow-github-flow-gitlab-flow/ Git flow란 Git flow는 브랜치를 어떻게 운용할지에 대한 좋은 사례다. 이러한 사례를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여기서는 사례를 의미한다. 마스터는 언제나 실행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실행 가능한 상태를 만들어 가는 과정은 develop 브랜치에서 작업한다. 출시 준비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release 브랜치다. release에 만들어진 브랜치는 언젠가 develop으로 병합해야 한다. 잘 작동하는 을 확인했다면 릴리즈에서 마스터로 병합한

한이음 프로젝트 - GitHub Flow
GitHubFlow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할 커밋 방법론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master ᅠᅠ└─ dev ᅠᅠᅠᅠᅠᅠᅠ├─ master ᅠᅠᅠᅠᅠᅠᅠ├─ dev-dy ᅠᅠᅠᅠᅠᅠᅠ├─ dev-jh ᅠᅠᅠᅠᅠᅠᅠ└─ ...** dev-dy 브랜치 생성 dev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ev dev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dev dev-dy 브랜치 생성 git branch dev-dy dev-dy에 commit push dev-dy 브랜치로 이동하기 `git checkout dev-

기술면접05
Reference Reference Reference Github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소스코드 관리 서비스 소스 코드를 열람하고 간단한 버그 관리, 의사소통 기능 제공 >Git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형상 관리 도구, 로컬 저장소 Github : git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웹 호스팅 서비스, 웹 사이트, 플랫폼, 원격 클라우드 저장소 로컬 / 원격 저장소 로컬 저장소 : 자신의 컴퓨터에 있는 저장소 원격 저장소 : 서버 등의 네트워크에 있는 저장소 >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원격 저장소에 저장 원격 저장소 이름 목록
분석프로젝트와 GitHub-flow
Git-flow, GitHub-flow, GitLab-flow 조금씩 다르다. 몇 가지 읽어보고 나서 든 생각은, 소규모로 바로바로 소통하고 빠르게 업데이트 하려는 작은 프로젝트 단위에서는 GitHub-flow가 적합하겠다는 것. 게다가 개발이 아니라 분석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니, 셋 다 조금 부자연스러운데, Git-flow는 특히 부자연스럽다. 일단 좀 더 알아본 다음에 없다면 한 번 고안해봐야겠다. 이라던지 이라던지, 소프트 스킬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지만 기술적인 부분도 분명 존재하는 거 같다.

[TIL] GIT-FLOW
Git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론 같은 것이 있다고 한다. 그것이 바로 Git-flow, 한 번 알아보자 Git-flow Git이 활성화 되기 시작하던 때 쯤 Vincent Driessen이라는 사람이 블로그에 올린 내용이 퍼져 현재는 거의 표준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즉, Git-flow는 기능이 아닌 방법론이며, 각자의 개발 환경에 따라 수정하고 변형해서 사용해야 함 브랜치 간의 엄격한 상호 규칙에 따라야하는 작업 흐름으로 개발 주기가 긴 프로젝트에 적합 운영 방식 Git-flow는 총 5가지의 브랜치를 사용해서 운영을 함 메인 브랜치 master : 기준이 되는 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