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um
Typescript에서 상수 관리: enum vs const enum vs as const
TypeScript에서 상수 관리를 위해 enum과 const enum, as const라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enum Enum은 Typescript에서 제공
[Dart] ENUM (enumeration) 열거형
Dart 언어에서 ENUM은 "enumeration"의 약자로, 서로 연관된 상수 값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특별한 유형이다. ENUM은 정수, 문자열 또는 사용자 정의 값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는 고유한 값을 가지는 상수의 집합을 나타낸다.ENUM을 사용하면 일련의

[TypeScript] TypeScript 문법2
typeScript의 열거형(Enum)은 특정 값의 집합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JavaScript에서는 기본적으로 열거형을 지원하지 않지만, TypeScript에서는 문자형 열거형과 숫자형 열거형을 지원한다.TypeScript에서 열거형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의할 수
TypeScript(2) - 열거형(Enum), Interface
Enum은 특정 값의 집합을 정의할 때 사용되며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열거형의 종류로는 문자형과 숫자형이 있으며 따로 사용되거나 이 둘의 조합으로 정의될 수 있습니다.숫자형 열거형은 디폴트 값으로 숫자형을 사용하며, 각 값은 자동으로 0부터 시작하여
타입 별칭, 인덱스 시그니쳐, Enum, Any, Unknown, Void, never
타입 별칭, 인덱스 시그니쳐, Enum, Any, Unknown, Void, never 정리
[TypeScript] enum 타입과 활용
왜 정리하는가? 프로젝트 연습중 타입스크립트는 정적 타입언어로 타입 설정을 통해 개발 오류를 잡아주는 기능에 비중을 두고 이해하고 있었다. 작성한 코드는 실제 컴파일후에 런타임에는 실행되지 않는 코드가 대부분으로 알고 있었는데.. enum 타입을 통해서는 실제 컴파
Swift Enum에 Protocol을 채택하여 공통 case 만들기
ReactorKit, TCA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다보면 Action을 Enum으로 정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요 비슷한 기능을 하는 화면을 만들 때에는 Action 일부도 동일하게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동안 enum의 case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일성을 갖추
Enum 이란?
Enum 이란..?데이터 중 한정된 값을 갖는 것들 존재ex) 계절(봄/여름/가을/겨울), 요일(월/화/수/목/금/토/일) 등한정된 값을 갖는 타입을 자바에서는 Enum(열거 타입)이라고 한다.Enum을 쓰면 지정된 값만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이상한 값들을 걸러줄
enum,네이티브객체, 호스트객체
enum타입은 상수값으로 사용될 값들을 모아놓은 열거형식이다.코드가 단순해지고 가독성이 좋아진다.enum이란 이름 자체로, 열거 의도를 나타낸다.하나의 변수에 대한 고정값으로 사용 가능하다이런식으로 만들어두면 해당 값을 고정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하다.굳이
타입스크립트 정리4 : 유니온 타입, Tuple, Enum
유니온 타입을 사용하면 변수의 타입을 숫자 또는 문자열로 선언하거나 특정 함수 두 가지 모두 취하도록 선언할 수 있다.숫자나 문자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어떤 타입이든 가능하다number | string | boolean 이렇게 3가지도 가능하다. 권장되는 방식이 아니다
타입스크립트에서 enum을 사용하면 안될까?
https://engineering.linecorp.com/ko/blog/typescript-enum-tree-shakingenum에 한글 형식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고민 중에 위와 같은 글을 보았습니다.결론은 "사용하지 않는 코드를 삭제하는 기능인 tre

[Java]Enum
흔히 final static string 과 같은 방식으로 상수를 정의한다. 하지만 상수를 정의해서 코딩하는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된다.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바 1.5버전부터 새롭게 추가된 것이다. Enum 은 열거형이라 불리며,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