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lastic Stack

Elastic Stack
Elastic Stack 알아보기 엘라스틱 스택은 데이터 수집, 가공, 저장, 분석, 시각화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를 갖추고 있다.

GCP에서 Elasticsearch 실습 환경 구축하기(3)
Elasticsearch 다운로드 및 실행 파일 생성하기 이번 글에서는 Elasticsearch와 Kibana를 다운받고 실행시키는 방법을 다뤄보겠다. 이전에 구축했던 리눅스 환경에서 Elasticsearch를 설치하고 실행시켜 보겠다. 다음의 링크를 통해 다운 받을

GCP에서 Elasticsearch 실습 환경 구축하기(2)
Window 환경에서 GCP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이번 글에서는 Window 환경에서 Putty와 bash shell을 사용하여 GCP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방법을 다뤄보겠다. 1. Putty를 사용하여 GCP 인스턴스에 연결하기 먼저 Putty를 사용하여 GCP 인

GCP에서 Elasticsearch 실습 환경 구축하기(1)
GCP 인스턴스 생성하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Elastic stack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AWS, Azure, GCP 환경이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GCP(Google Cloud Platform)를 활용해보겠다. 우선 Google Cloud
Document
elastic 한국어 문서 https://www.elastic.co/guide/kr/index.html를 읽고 작성Elasticsearch는 데이터를 indexing/update/delete하는 시점부터 검색이 가능해질때까지 1초정도 걸림Document ind
Cluster, Index
ElasticSearch 설치Elasticsearch 7.15 설치 가이드 (linux)https://www.elastic.co/guide/en/elasticsearch/reference/current/targz.htmlcluster 상태 확인HTTP/REST
Elasticsearch 기본 개념
elastic 한국어 문서 를 읽고 작성 Elasticsearch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핵심 개념을 정리 NRT(Near Realtime) Elasticsearch는 NRT(Near Realtime) 검색 플랫폼으로서 document를 indexing 하는 시점부

Elastic Stack setup with MySQL Slowquery
Elastic Stack으로 MySQL SlowQuery를 시각화 합니다. > MySQL > FileBeat > Elasticsearch > Kibana ㄴ MySQL : SlowQuery, ErrorLog File TL;DR github에서 코드를 다운로드 합니다

Elastic Stack Kibana 7.6 정리
도큐먼트 : https://www.elastic.co/guide/en/kibana/7.6/managing-indices.html기존에 JSON EDITOR로 -> 타입선택형 화면으로 변경기존의 VISUALIZAION에 기본으로이던 ReionMap과 Coor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