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IP

ERC-7409: NFT에 이모지로 온체인 감정 표현 (최신 표준안)
이더리움 개선 제안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흥미로운 발제내역이 많이 보인다. "채굴, 스테이킹"이라는 따분한 내용보다 실용화에 주안점을 둔 geek들의 스마트 컨트랙트 발제안들은 재미있게 느껴지는데 효율보다 낭만에 이끌림을 느끼는 나는 그 중 가장 눈에 띄고 재밌게

EIP-3675: Upgrade consensus to Proof-of-Stake (한글 번역 + 내용 추가)
EIP-3675: Upgrade consensus to Proof-of-Stake 지분 증명을 도입하는 이더리움 메인넷의 합의 메커니즘 업그레이드에 대한 사양입니다. Abstract 이 EIP는 작업 증명(PoW)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며, 비콘 체인에 의해 구

ELB IP whiteList 공급 솔루션 설계
ELB를 통해 다중 AZ에 배치된 Autoscaling그룹의 인스턴스 플릿이 존재하고, 해당 인스턴스에서 서비스를 공급할 때, 서비스 이용자가 방화벽 해제를 위한 whiteList를 요구할 수 있다. 해당 글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솔루션을 설계한다. EC2

EIP-150: Gas cost changes for IO-heavy operations
https://www.rareskills.io/post/eip-150-and-the-63-64-rule-for-gasexternal call이 발생하면 (CALL, STATICCALL, DELEGATECALL) 해당 externall call에서 사용되기 위한

AWS-NACL과 Subnet연결, EIP
\-> NACL에 해당되어지는 Subnet에 적용시키기 위해 서브넷 연결 편집에 들어가서 해당 Subnet과 NACL을 연결해준다.EIP는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이고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에 탄력적 IP 주소를 지정가능하다. 탄력적

EIP-712: Typed structured data hashing and signing
: EIP-712는 단순한 바이트스트링이 아닌 형식화된 구조물을 해싱하고 서명하기 위한 표준입니다.인코딩 함수의 정확성을 위한 이론적인 프레임워크Solidity 구조체와 유사하고 호환 가능한 구조화된 데이터의 명세이러한 구조체 인스턴스를 위한 안전한 해싱 알고리즘서명

ERC-191: Signed Data Standard
: ERC-191은 이더리움에서 signed data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대한 표준 정의이다.(2016년 기준) Presigned transaction을 accept하는 Multisignature wallet의 implementation들이 나오게 되었다.이러한 s

ERC와 EIP
ERC와 EIP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서로 다른 두 가지 표준이다.ERC는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의 약자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토큰을 생성하고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 표준이다. ERC 토큰은 블록체인에서 거
EIP - Introduction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은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여러 애플리케이션과 연계되어 동작한다따라서 시스템 간의 연동에서, 몇 가지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network are unrealiable : 시스템 간의 네트워킹 간 무슨일이 발생할지 모른다network a
AWS EIP(Elastic IP)
EIP(Elastic IP Address)는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고정적인 공인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고, 인스턴스에 연결할 수 있는 서비스다.모든 인스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탄력적 IP 주소를 연결 가능하다.EIP를 할당받고 삭제하기 전까지 IP
Chapter 1. ERC 토큰표준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더리움의 EIP중 Standard Track EIP에 해당하는 ERC에 해당하는 세가지 ERC-20, ERC-721, ERC-1155에 대해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Spring&AWS][6] 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EC2
이 글은 책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공부하고 정리한 글입니다.

[6. Spring boot] AWS 서버 환경을 만들어보자 - AWS EC2
저의 경우 항상 학교에서 했던 프로젝트는 서버를 집에 두어 직접 서버를 켜야했기 때문에 AWS서버를 이용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AWS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서버 배포를 해보겠습니다. 저처럼 집에 서버를 두거나 호스팅 서비스(Cafe 24, 코리아

🔥 AWS EIP 만들기(고정 아이피)
AWS EC2 를 생성하면 퍼블릭 IP가 부여된다.그러나, ec2를 중지하고 다시 재실행하게 되면 이 IP가 바뀌게 돼서, 만약에 도메인에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다시 수정해야하는 일이 발생한다.그래서 앨라스틱 IP(EIP)를 부여해서 IP가 고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AWS] Elastic IP(EIP)연결 및 취소
AWS에서 Elastic IP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우선 AWS의 EC2 인스턴의 화면이다.여기서 오른쪽 아래 쯤에 보면 IPv4 퍼블릭 IP 18.217.132.135라고 적혀있는 게 있는데 저게 public IP이다.하지만, 인스턴스의 Public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