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TO
spring_001_dao_dto_vo
DB(database)의 data에 접근하기 위한 객체DB에 접근하기 위한 (로직) & (비지니스 로직 분리)를 위해 사용한다.계층 간 데이터 교환을 하기위해 사용하는 객체.로직이 없는 (getter와 setter만 가진 클래스)객체 값을 쓰기위한 객체read-only

Java 16: Record Class (2) DTO 클래스에서는 Record를 어떻게 쓸까
Java 16 Record Class는 불변 객체 표현에 굉장히 유용하다. 또한 심플하다. 다만, 그 사용처를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스프링 부트 3 버전대에 이르러 ...

[Spring Boot] DTO 적용과 유효성 검증 방법
말 그대로 데이터 전송 용도의 객체를 의미한다. DTO는 보통 여러 필드로 구성되어 있고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으며, 오직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전달하는 객체이다.따라서 서로 다른 객체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해 준다는 특징이 있다.DTO 클래스를 따로 만듦으

Java - record class
Java 14의 record class는 DTO 클래스를 만드는 데 유용하며, 불필요한 코드를 줄이고 간결한 코드 작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생성자, 데이터 필드, getter 메서드, equals(), hashCode(), toString() 메서드를 자동 생성합니다.
DTO가 엔티티나 도메인을 알아도 괜찮을까?
개요 미션을 진행하며 요청 객체를 DTO로, 엔티티를 응답 객체로 변환하는 부분이 존재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이 다양한 메서드에서 중복되고, 필드가 많아질수록 코드가 길어짐에 따라, 개선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해 보았습니다. 마침 웹 자동차 경주 미션의 리뷰어였던 조앤이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활용하는 것이 취향이라고 소개해주셨고, 해당 방법이 떠올랐...
DAO vs DTO vs VO
DAO (Data Access Object DTO (Data Transfer Object) VO(Value Object) Entity

query dsl - 1
Query DSL 기본 문법 query 위주의 실습이기에, 첫 데이터를 항상 넣고 시작. (같은 class 내의 테스트 들만) ++ compileQuerydsl 실행해두기 (Q type 을 만들어줌) JPQL 과 차이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발견할 수 있음! 이런
[뉴스 APP] 데이터를 DTO로 반환하기
데이터를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로 보낼 때 엔티티 타입으로 보내는건 바람직하지 않다.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API 스펙, 데이터 유실, 원치 않는 데이터 전송, 엔티티 수정 불가 문제... etc따라서, 엔티티 대신 DTO 객체를 만들고 API 스펙에 맞게 보내주는게

[Spring] DTO는 어디서, 어떻게 변환해야 할까?
0. 🧐 고민의 시작 Spring의 DTO 개념을 처음 접하면서 고민이 생겼다. > 1. DTO, Entity 간의 변환은 어떻게 해야할까? > 2. DTO, Entity 간의 변환은 어느 레이어에서 해야할까? 어떻게 변환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양방향
DTO에 대한 생각들
이 글은 프로젝트를 만들던 중 DTO를 모든 요청이나 응답마다 DTO를 만들어야 할까? 에 대한 의문에 DTO의 여러 글들을 찾아보니 개인마다 차이가 꽤 있는 것 같아 내 방식을 정리하고자 쓰는 글이다. > 문제1. DTO는 요청이나 응답마다 전부 만들어야 할까? 문
DTO vs VO vs Entity
DTO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객체이다. 단순히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전환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때문에 로직을 갖지 않고 Getter/Setter 메소드만 갖는다.Setter를 없애고 생성자를 이용하여 객체를 초기화하는 경우 불변객체로 사용할 수 있다. Setter가 없
class-validator
class-validator이란 joi의 Typescript버전으로, 데코레이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검증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이다.서버로 들어오는 Json데이터의 검증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검증하고픈 파라미터 위에 데코레이터를 사용하면 검증할 수
DAO vs DTO vs VO vs Entity
오늘의 공부 거리 : DTO vs VO vs Entity 목표1) DAO는 무엇인가. 목표2) DTO는 무엇인가. 목표3) VO는 무엇인가. 목표4) Entity는 무엇인가. 목표4) 3가지의 비교/분석 -발단 독학으로 개발을 공부하며, Java이후 Servlet
[QueryDSL] 에러 - query specified join fetching, but the owner of the fetched association was not present in the select list
에러 로그 에러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