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Dependency Injection)

[React]-DI(Dependency Injection)의존성 주입으로 리팩토링 해보자!
이전 포스트에서 context api를 통해 충분히 깔끔한 코드로 리팩토링 했지만, 와 에서의 코드 중복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방법은, DI(Dependency Injection)을 하는 것이다! 실제 api를 호출하는 client, mock data를 호출하는 client를 각각 따로 만들어서 각각 다른 client를 사용하는 youtube class로 만들어주면 된다. 우선 youtube.js를 복사해서 youtubeClient.js로 바꿔주고, fakeYoutube.js를 복사해서 fakeYoutubeClient.js로 바꿔준다. 그럼 client가 두개 생성되는 것이다. 이제 youtube.js에서 client를 내부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외부로부터 받아오게 한다. 이 말은 즉 필요한 dependency를 주입 받는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DI! 이렇게 기존의 코드를 수정해준다! 이렇게 를 전달받으면 에 요청을 해주고, 인지 인지에
오프라인 코드캠프 12일차 TIL
👨🏻💻 오늘의 알고리즘 공부 set 문법 최근에 나온 문법으로 배우면서 아주 용이하다고 느꼈다 set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객체 데이터 타입 형태이다. 하지만 특이점이 하나 있는데 객체의 내부는 배열의 형태를 가진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요런 느낌~? 가장 큰 특징으로는 내부에 값을 저장하는데 중복값 없이 저장이 된다는 점이다!! set 내부에선 예외적으로 아래와 같은 경우를 서로 같은 값으로 본다. 이제 사용법을 알아보자 해당 객체에 값을 추가하는 법 값을 삭제하는 법 값을 조회하는 법 길이를 조회하는 법 배열로 만드는 법 데이터 리셋하는 법 반복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