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DD

[번역] 도메인 모델 순수성 vs 도메인 모델 완전성
이 글은 Vladimir Khorikov의 글 Domain model purity vs. domain model completeness (DDD Trilemma)을 번역한 글입니다.저는 지난 1,2년간 많은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트릴레마에 대한 질문을 받았는

[DDD] 설계를 한번 해보자. 제대로
배경은 일단 티모태, 더모티 프로젝트를 경험하면서, 숱하게 겪은개발단계에서 잘못된 설계로 인한 피해 들 때문이다.돌아보니 이게 안맞고, 저게 안맞고 해서 그걸 고치고 다시 짜느라 시간과 노력이 곱은 더 들었던것 같다.이러한 뻘짓들을 줄이기 위해, 한번 이번 프로젝트에서

도메인 주도 설계(Domain-Driven Desgin)란?(feat.<도메인 주도 설계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로 해결해야할 문제의 영역입니다.예를 들어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어떻게 잘 제공할 것인가? 의 대한 문제는 커머스라는 도메인이 있습니다.커머스 도메인의 하위 도메인으로 판매자가 무엇을 판매할 것인가? 의 대한 문제는 상품이라는 도메인이 있고,공통된 상품에 대해

Domain Driven Design
소프트웨어의 본질은 기술이 아니라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현실의 문제(도메인)을 잘 파악하고 그 문제 해결이 code로서 잘 구현될 때 가장 이상적인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다.하지만 도메인의 문제를 잘 아는 사람과, 그것을 코드로 구현하는 사람이 분리되어 일하

CQRS: 명령과 조회의 분리
주문 내역 조회 기능을 구현하려면 여러 애그리거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 Order에서 주문정보를 가져와야 하고, Product에서 상품 이름을 가져와야 하고, Member에서 회원 이름과 ID를 가져와야 한다.조회화면 특성 조회 속도가 빠를 수록 좋은데 여러 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