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ertBot

[Nginx][CertBot] 여러 도메인의 Https 갱신 자동화
다중 도메인 ex) a.com, b.com 등에 대하여, 한번에 Https 설정을 완료하고, 이를 자동 갱신한다.
Certbot Docker 이미지 사용하여 Cloudflare 도메인 와일드카드 SSL/TSL 인증서 발급받기 feat. docker-compose
Certbot Docker(certbot/dns-cloudflare) 이미지와 docker-compose를 사용하여 Cloudflare 도메인 와일드카드 SSL/TSL 인증서 발급받아보자.

certbot으로 HTTPS 설정하기
Ncloud로 Ubuntu 서버를 생성했고 https 설정을 해보려한다. HTTPS란? 암호화 프로토콜을 거친 암호화된 HTTP 통신 이전에는 SSL(Secure Sockets Layer)으로 불렸지만 SSL 2.0에서 발견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재설계된 SS

Certbot 인증서로 Nginx SSL(HTTPS) 설정하기
SSL인증서를 발급받아 Nginx에 설정하는 방법과http로 접근하던 페이지에 https를 적용하여 보안을 강화.SSL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도메인이 있어야 하고 구매한 도메인을 DNS서버에 등록한 뒤어디서나 공개조회(쿼리)되고 있는 상태여야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Docker로 Let's Encrypt 인증서 발급하기 (도메인 발급 없이)
nip.io 도메인과 Docker Certbot으로 Let's Encrypt 인증서를 발급해보자!

Cafe24 무료 SSL 적용하기 - Let's Encrypt
Cafe 24에서 호스팅을 한 결과 HTTPS 적용이 안되어 있는걸 볼 수 있다. HTTPS 적용을 위해서 무료 SSL인증 방법이 있다.\-> cafe24에서는 와일드 카트 인증서 등록은 불가능하고, 서브 도메인 또한 불가능하다. 단일 도메인만 가능Lets' Encry
linux 환경에서 certbot을 이용하여 SSL인증서를 자동갱신 해보자 (nginx, standalone, webroot)
certbot을 이용해서 ssl인증서를 발급받아 https를 사용하는 중자동갱신 기능이 필요해져서 정리하엿다.crontab이란 linux에서 사용하는 스케쥴링 도구이다.crontab -l : 스케쥴링 리스트를 확인한다.crontab -e : 내용일 추가,수정 한다.cr

Docker compose certbot nginx 로 ssl 인증서 발급하기
준비물 : 도메인 발급 nginx 컨테이너 443포트 열기docker-compose를 실행하여 nginx와 certbot을 사용하여 https 로 사용하게 한다.3trolls.me의 80 포트로 접근 할 때 443 https로 리다이렉트로 시켜준다
nginx로 certbot SSL 인증서 발급하기
ubuntu-jammy-22.04-amd64-server-20230516nginx로 http 도메인 설정이 완료된걸 가정으로 한다.sudo snap install --classic certbotsudo ln -s /snap/bin/certbot /usr/bin/cert

웹서버, WAS 와 Https
웹서버 정의 : 웹 브라우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페이지 요청을 하면 웹서버에서 html css js(정적 컨텐츠 응답) WAS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나 장치에 애플리케

0원 인증서 certbot으로 설치 완료
domain name 은 사전에 준비되어 있어야함. 해당 domain name으로 작성된 cfg가 있어야함. pip install certbot pip install certbot-nginx\n sudo certbot --nginx -d bellboy.cleanb.
Docker를 이용한 서비스 컨테이너화 작업 - 4 (docker-compose.yml)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시간에 만든 Dockerfile을 바탕으로 docker-compose.yml 파일을 통해 여러 컨테이너를 한번에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제가 서비스에 띄울 컨테이너는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api 컨테이너, 알림, 메일 발송 등을 담
Docker를 이용한 서비스 컨테이너화 작업 - 3 (컨테이너 HTTPS 설정)
안녕하세요 오늘은 컨테이너에 https 설정을 진행하고 이에 맞게 Dockerfile을 수정 및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https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면, https는 http에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프로토콜입니다. http와

NGINX-SSL-proxy 설정
NGINX를 사용해 SSL을 적용하고 내부의 다른 포트 애플리케이션으로 프록시하는 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팅 입니다. 사전작업 인스턴스 리눅스 생성(우분투) 방화벽 설정(TCP 80,443 open) 도메인 설정: HOST_NAME, TYPE(A), DATA

Ubuntu 22.04에 Wordpress 설치 및 호스팅 (6. certbot을 이용한 HTTPS 접속)
설정이 끝나면 sudo vim /etc/nginx/sites_available/설정한 이름.conf로 들어가 certbot 설정이 추가되었는지 확인한다certbot 인증서는 주기적으로 갱신하지않으면 만료되므로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설정해준다이후 도메인으로 접속시 http

NGINX와 Certbot을 이용해 로드밸런싱과 https를 적용해 보자
ec2 서버에서 NGINX와 Certbot을 이용해 https와 로드 밸런싱을 적용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