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rdinality
SQL INDEX
SQL Index 란? Index란 해당 테이블의 인스턴스(혹은 레코드)가 해당 컬럼들로 단일성을 갖출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기능 : 컬럼을 단일화 시켜 찾고자 하는 데이터(레코드)를 효율적인 리소스로 찾을 수 있다. > DB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수평적(Horizontal)으로 읽는다. 즉, 10만 열의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이라면 테이블 접근을 10만번 해야한다. 이는 데이터 양이 많아질수록 리소스의 성능이 저하됨을 말한다. Index Scan Index를 사용하면 열을 수평이 아닌 수직으로 먼저 읽을 수 있다. | Product | Insp_Date | Result | |-------------|------------|--------| | 000004PRO09 | 2019-06-18 | Y | | 000004PRO10 | 2019-06-19 | Y | | 000004PRO11 | 2019-0

DATABASE data integrity, transaction, sequence, cardinality (230713)
1. 데이터 무결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data integrity, 데이터 무결성은 컴퓨팅 분야에서 완전한 수명을 거치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가리킨다. > 특히 DB, RDBMS 에서 중요한 기능이다. 2.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제약조건 5가지를 나열하고 설명하시오. not null > null 값이 들어갈 수 없다. > 값을 무조건 지정해줘야 한다. unique > null값은 값이 정해지지 않은 것이므로 들어갈 수 있으나 값이 정해졌다면 유일한 값만 들어가야 한다. primary key > not null과 unique 둘다 적용된 것. null 값일 수 없고 고유한 값이 들어가야 한다. foreign key > 타 테이블의 primary key값을 이용해 들어오는 자리. 그러므로 참조한 테이블의 primary key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들어갈 수 없다. check > insert 시

[포스코x코딩온] 스마트팩토리 입문과정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모델링_ER-Model
[데이터 모델링] • 건축으로 비유하면 지반 설계를 하는 일 • 복잡한 현실 세계 데이터를 단순화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표현하기 위한 작업 • 추상화 : 현실세계를 일정한 형식에 맞춰 간략하게 표현 • 단순화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한된 표기법이나 언어를 사용 • 명확화 : 명확하게 의미가 해석되어야 하고, 한 가지 의미만을 가져야 함 [데이터 모델링 종류/단계]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정보 모델링) : 전체적인 뼈대를 만듦 (개체들간 관계를 정의해서 ER 다이어그램 만드는 과정)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정규화 작업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 하는 작업)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물리적 구조를 정의 -> 실제 데이터베이스 작업 -> 정보모델링(개념적 데이터 모델링)에서 ER다이어그램을 만듬 -> ER다이어그램을 보고 정규화 작업 -> 실제 데이터 베이스 작업 [ER Model] • 데이터 모델링 과정 중 개념적 모델링에 사용하는 모델

ERD 도식의 의미
모두의 SQL, P.142 ERD를 통해 관계 차수(카디널리티. cardinality)와 관계 선택 사양(optionality)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관계 차수는 1:1, 1:N, M:N 등 하나의 개체에 몇 개의 개체가 대응되는지를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관계 선택 사양은 관계가 필수인지 아닌지(없을 수도 있을지)를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화살표 방향은 어느 쪽에 속하는지를 나타냅니다. 관계 차수 도식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img src="https://velog.velcdn.com/images/youngkiu/post/8ed9b7fc-d19c-4b7e-811b-d3a94dfad11c/image.png" wid

22.5.06 [HackerRank]Java BitSet
✅ 문제 분석 첫 줄에 B1 B2 길이를 나타내는 정수 n과 수행할 작업 수 m이 한칸 띄어 입력된다. 다음 줄부터는 위 다섯가지 형태 중 하나로 입력 된다. set에서 1,2는 각각 B1, B2를 의미한다. index의 숫자는 BitSet안의 비트 인덱스를 의미한다. 이진연산 AND OR XOR는 첫번째 피연산자에 두번째 피연산자의 집합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AND 2 1인 경우 B2에 B1과 B2의 합집합이 들어간다. M0 = AND 1(SET) 2(SET) B1 = B1 ∩ B2 = {0,0,0,0,0} ∩ {0,0,0,0,0} = {0,0,0,0,0} B1 ={0,0,0,0,0}, B2={0,0,0,0,0} 따라서 설정된 비트수가 각각 0이므로 0 0 이 출력됨
[DATABASE] Cardinality, Degree
Cardinality 란? tuple/행의 수 이다. ER-Diagram에서는 하나의 개채와 다른 개채의 관계이다 1:1, 1:n , n:n DB의 테이블에서 유니크한 값을 얘기한다. ex) Gender의 컬럼의 경우 남성, 여성 Degree 란? 속성의 수 이다. DB의 테이블에서 속성(열)의 수이다. Reference https://www.quora.com/Whats-the-difference-between-cardinality-and-degree-of-a-table

Decision Trees
Decision Trees Tree Based Model 1. Cardinality > Q . Cardinality의 뜻은? > A . 특정 데이터 집합의 유니크( Unique )한 값의 개수이다. 범주형 데이터에서 많은 범주를 가지는 카테고리 특성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2. Pipeline > Q . Pipeline이란? > A . 데이터 사전 처리 및 분류의 모든 단계를 포함하는 단일 개체를 만든다. > * 여러 ML 모델을 같은 전처리 프로세스에 연결시킬 수 있다. > * 그리드서치(grid search)를 통해 여러 하이퍼파라미터를 쉽게 연결할 수 있다. named_steps : 유사 딕셔너리 객체(dictionary-like object)로 파이프라인 내 과정에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