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CD

Android CI/CD
CI/CD란 무엇인가?Android 배포 시스템을 자동화한다.Lint와 Detekt 적용해본다.Firebase Distribution 적용체계가 잡히지 않은 업무 시스템에서 일을 하다보면 개발도 하고 버전관리 및 배포도 하는 경우가 많다. 개발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해,

Jenkins를 사용해 CI/CD 환경 구축해 보기(2)
Jenkins를 사용해 CI/CD 환경 구축해 보기(1)Github은 repository에서 발생한 변경을 외부 서비스에 알리기 위해 Webhook 기능을 제공합니다. Webhook을 설정하고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등록된 URL에 요청을 전달하여 변경을 알립니다.We

[DevOps] CI/CD
CI/CD 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를 자동화하여 짧은 주기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임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배포,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새로운 코드 통합으로 인해 개발 및 운영팀에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음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지속적인

Jenkins 와 Docker 를 이용한 Bitbucket CI / CD
Jenkins를 이용한 CI/CD 파이프라인 작업을 해야할 일이 있었다. 해당 작업을 진행하면서 그 과정을 기록한다.

[배경 지식] 컴파일, 빌드, 배포 개념 및 CI/CD 개념 정리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과정보통 Java, C자바스크립트에서의 컴파일러는 Babel과 Typescript 등이 있다. Babel을 통해 최신 자바스크립트 스펙을 모든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한 스크립트로 컴파일Typescript를 통해 TS -> JS

Jenkins를 사용해 CI/CD 환경 구축해 보기(1)
이 글은 소모임을 클론한 프로젝트의 진행에 CI/CD 환경을 적용하기 위한 과정을 기록한 글입니다.툴은 Jenkins를 사용하며 Docker를 이용해 Jenkins 이미지를 구동하여 환경을 구성합니다.※ Docker를 통해 Jenkins를 구동하는 과정은 이 글에서는

Jenkins, Docker, gitLab Webhook을 이용한 자동 배포_1편
개발자가 git에 pushgitlab에서 push 할때 자동 빌드(Jenkins)도커에서 이미지를 빌드시킴이를 배포....자동빌드를 하기위해서는 gitlab에 Webhook을 걸어두어야 한다. Jenkins에 접속까지는 제대로 했다고 생각하고 넘어가겠다.새로운 Ite

[Dev-Ops] CI/CD란 무엇인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CI/CD에 대해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정의] IT 업계에서 일을 하게된다면, CI/CD라는 용어를 한번씩들어보게 되는데요. 지속적 배포? 지속적 통합? 이라고 직역해서 이해하기엔 잘 와닿지가 않습니다. 소프트웨어공학에서는 CI/CD를

오늘의 오류 |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
Travis CI 자동화 배포를 진행하면서 배포가 진행되지 않아서 로그를 확인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jar에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
CI/CD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단계를 자동화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짧은 주기로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입니다.CI/CD의 기본 개념은 지속적인 통합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지속적인 배포세 가지 입니다.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을 뜻하며CI를 성공적으로 구

tensorflow serving 서버 CI/CD 구축하기
해당 포스팅은 tensorflow serving을 github action과 aws elastic beanstalk를 이용해 ci/cd를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CI/CD 방법론
먼저 CI/CD에 대하여 알아보자CI/CD의 기본 개념은 지속적인 통합,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 지속적인 배포입니다."CI"는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인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을 의미합니다"CD"는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Conti

[CI/CD] 아가 개발자의 좌충우돌 github action(firebase) 설정기
배포 그거 그냥 command로 치면 되잖아~!! 이런 마인드였던 나 자신 아주 혼나야 함최근 프로젝트의 규모나 팀 인원이 많아짐에 따라 CI/CD의 필요성을 느꼈다.커뮤니티 외부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CircleCI를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봐온게 그것 뿐이라 처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