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und

frame.size.height 및 width 가 0일 때
위처럼 header 라는 UIView 안에 card 라는 UIView 를 넣고, setGradient() 라는 함수를 만들어서 gradient를 주려고 했는데, 아무리 해도 안먹히더라... 대체 왜그럴까 하고, card.layout.size.height 랑 card.layout.size.width를 출력해보니 둘 다 0, 0 이 나왔다... 검색을 해보니 card.layoutIfNeeded() 를 추가해주니 잘 되었다. (주석처리 되어 있는 것) 그런데 layoutIfNeeded() 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라는 말이 있어서, frame에 대해서 조금 더 공부를 했다. https://babbab2.tistory.com/44 (공부한 사이트) 하지만 대체 왜 size 의 모든 값들이 0

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개념정리
바운드 Bound의 뜻: 경계, 한계 프로세스 진행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원인에 따라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CPU 바운드 프로세스 진행 속도가 CPU 속도에 의해 제한됨을 의미한다.(CPU Burst가 큰 프로세스) 복잡한 수학 수식을 계산하는 경우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느려진다. 동영상 편집, 머신러닝 등 버스트(Burst)란 어떤 현상이 짧은 시간 안에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일 I/O 바운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실행 속도가 I/O에 의해 제한됨을 의미한다.(I/O Burst가 큰 프로세스) 사용자가 입력을 하고 해당하는 입력에 대해 더하기 100을 한 결과값을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사용자가 입력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실행 속도가 결정된다. 인터넷에서 사진을 수집해서 저장하는 프로그램은 인터넷 속도가 전체 프로그램의 성능을 결정한다. 컴퓨터끼리 통신을 할 때에도 I/O
파이썬 bisect_right , bisect_left 를 Java로 구현한 것 [upper_bound , lower_bound , bound , bisect]
참고 블로그 : https://codingdog.tistory.com/entry/%ED%8C%8C%EC%9D%B4%EC%8D%AC-bisectright-bisectleft-%EA%B0%81%EA%B0%81-upperbound-lowerbound%EC%97%90-%EB%8C%80%EC%9D%91%EB%90%9C%EB%8B%A4 > 참고 유튜브 및 Github : 나동빈 님 > 유튜브 : https://youtu.be/94RC-DsGMLo > Github : https://github.com/ndb796/python-for-coding-test/blob/master/15/1.java Java 로 구현한 부분
.png)
🤔 I/O , CPU Bound Process
계산보다 I/O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프로세스. > 계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며 I/O 요청을 자주 생성하지 않는 프로세스. 위와 같이 나뉘는 일반적인 프로세스의 종류를 스케쥴링시 고려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