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0
스프링 에러노트 400 404 500
404 >.xml 파일 이름이 틀렸을 떄 tomcatlocalhostlog 에 filenotfoundexception발생 400 bad Request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파라미터이름과 컨트롤러에서 받을 파라미터 이름이 다를 때 500 Internal Server Error >주입관계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 클래스에 어노테이션이 제대로 작성하지 않는 경우 발생 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Error creating bean with name등의 메시지 확인

TIL - 500 에러 | 400 에러 | HTTP vs HTTPS
문제1 - status: 500 / Internal Server Error 1) 문제 아주 그냥 문제 투성이다 .. status 500 에러는 요청 처리 과정에서 서버가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처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한다. Intellij 상에서는 이런 오류 내용들이 나왔다. 2) 시도 일단 오류가 발생한 부분의 코드를 다시 살펴보

Part 13. 4xx - 클라이언트 오류와 5xx - 서버 오류
**주제 Q 1 : “4xx - 클라이언트 오류?“ Q 2 : “5xx - 서버 오류?** Q 1 : “4xx - 클라이언트 오류?“ > | HTTP 상태코드 | 정리 | |:---:|:---:| 4xx - 클라리언트 오류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잘못된 문법 등으로 서버가 요청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를 뜻한다. || 오류의 원인이 클라이언트에게 있다. || 이미 잘못된 요청과 데이터를 보내고 있기에 똑같은 재시도가 실패한 경우다. 400 Bad Request | 클라이언트가 잘못된 요청을 해서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한다. || 클라이언트는 요청 내용을 다시 검토하고 보내야한다. || 예) 요청 파라미터가 잘못됐거나 API 스펙이 맞지 않을때 401 Unauthorized | 클라이언트가 해당 리소스에 대한 인증이 필요할 때 || 401 오류 발생시 응답에 WWW-Authenticate 헤더와 함께

[ERROR] (Not Solved) Airflow HttpSensor 400 Client Error: Bad Request for url
0. 실행 환경 > AWS EC2 t2.xlarge OS : Red Hat 9.1 Python : 3.9 Airflow : 2.5.0 1. Code curl, request로 하면 결과가 나오는데 task 실행시키니까 400 에러가난다. HttpSensor, SimpleHttpOperator 로 해봐도 안된다. response_check=False를 넣어도 안된다. providers/http/hooks/http.py, requests/models.py를봐도 response code를 확인하는거 밖에 없는데 원인을 모르겠다. task정의에서 header를 제거해도 같은 오류가난다. 2. Connection 3. API Test 1) Curl 결과  에러
form에 파일 업로드 부분을 추가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400 에러가 발생했다. 검색해보니 dto에서 선언한 변수(파일 이름 저장)의 이름과 form 내 input 태그의 name 속성 값이 같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고한 포스트 파일 업로드 시 400 에러 해당 포스트를 참고하여 input 부분의 name 값을 dto와 다른 값으로 수정해주니 정상 작동하였다.

HTTP, 그리고 Request & Response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yperText HTTP에서 HyperText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HyperText와 그 의미가 동일하다. HTML은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태그로 구성된 언어란 뜻이다. 다시 말하면, HTML은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웹브라우저 위에서 동작하는 언어를 뜻한다. ✅ Transfer Transfer은 사전적 의미로 "전송하다"이다. 전송에 큰 의미가 있다. 쉬운말로 "물건이나 편지 따위를 보낸다." 라는 의미다. 개발자가 로컬호스트(본인의 랩탑 또는 데스크탑)에서 작성한 HTML 파일을 로컬에서만 띄운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예를들어 작성된 편지가 대상(부모님, 선생님, 연인 등..)을 갖고 있다면 그 대상에게 보내져야 의미가 있다. 편지를 보내지 않으면 응답이 오지 못한다. 의도 했던
400 Bad Request 오류가 뜰 때 확인해야 할 것
우리가 개발을 하다보면, 자주 만나는 에러 중 하나가 400 에러입니다. 보통 Bad Request라고 하면 파라미터 관련하여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파라미터 타입 등등을 모두 확인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400 에러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쿠키 크기를 초과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 쿠키의 용량을 초과했을 경우에도 400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고 계시면 좋습니다.
36일차 - 응답코드
200 OK(요청성공) 301 이름이 바뀌거나, 경로가 바뀌어서 찾을 수 없다 400 클라이언트 에러 401 인증X 200 OK(요청성공) 403 접근권한 없음 404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405 허용되지 않은 메소드 **[page
리눅스 chmod
전에 올렸던 맥에서 aws리눅스 접속에서 chmod에 대한 공부가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글을 납깁니다. chmod란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로써 chmod 뒤에 오는 세자리의 숫자로 이뤄져 있습니다. 000 순서대로 나,그룹,전체 권한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400은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한 것 인데 나에게 2진수(100) 3번째 자리에 1을 주면서 읽기만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것이고 444는 나,그룹,전체 모두에게 읽기만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 것이다. 또 예를 들자면 chmod 600은 나에게만 읽기, 쓰기 권한 부여 chmod 744는 나에게 읽기,쓰기,실행 권한을 그룹과 전체에게는 읽기 권한만 준 것이다 이렇게 파일의 접근권한을 명령어로 바꿀 수 있는 명령어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