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

Part 27. 2xx-성공
**주제 Q.1 :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요청과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200 0K?“ Q.2 :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는 201 Created?“ Q.3 :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202 Accepted?”(잘 사용하지 않음) Q.4 :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본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는 204 No Content?”** Q.1 :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요청과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200 0K?“ **

Part 10. 2xx - 성공(HTTP 상태코드)
**주제 Q 1 :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요청과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200 0K?“ Q 2 :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는 201 Created?“ Q 3 :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202 Accepted?”(잘 사용하지 않음) Q 4 : “서버가 요청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지만, 응답 페이로드 본문에 보낼 데이터가 없는 204 No Content?”** Q 1 :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요청과 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졌을 때 200 0K?“ 클라이언트 서버가 GET 요청으로 URI /members/100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가장 많이 보는 케이스다. Q 2 : “요청 성공해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는 2

내일배움캠프 4기 React 13일차(JS로 하는 SPA 특강, 알고리즘)
1. MPA 와 SPA 의 차이 MPA(Multi-Page Application) 브라우저에서 변경사항이 있을 때 서버로 서브밋 데이터를 전달하여 새로운 페이지 렌더링을 요청하고 그 데이터를 표시함 새로운 페이지를 불러올 때 새로고침 됨 SPA(Single-Page Application) 서버로부터 완전한 새로운 페이지를 불러오지 않고 현재의 페이지를 동적으로 다시 작성함으로써 사용자와 소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웹사이트를 말함 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새로고침 X 2

HTTP, 그리고 Request & Response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HyperText HTTP에서 HyperText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의 HyperText와 그 의미가 동일하다. HTML은 문서와 문서가 링크로 연결되도록 하는 태그로 구성된 언어란 뜻이다. 다시 말하면, HTML은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해서 웹브라우저 위에서 동작하는 언어를 뜻한다. ✅ Transfer Transfer은 사전적 의미로 "전송하다"이다. 전송에 큰 의미가 있다. 쉬운말로 "물건이나 편지 따위를 보낸다." 라는 의미다. 개발자가 로컬호스트(본인의 랩탑 또는 데스크탑)에서 작성한 HTML 파일을 로컬에서만 띄운다는 건 무엇을 의미할까. 예를들어 작성된 편지가 대상(부모님, 선생님, 연인 등..)을 갖고 있다면 그 대상에게 보내져야 의미가 있다. 편지를 보내지 않으면 응답이 오지 못한다. 의도 했던

HTTP 응답 상태 코드 정리
HTTP 응답 코드 200 ~ 204 - 성공 200: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정상적으로 수행함. 201: 클라이언트에게 생성 작업을 요청 받았고, 생성 작업을 성공함. 204: 요청은 성공 했지만 응답할 콘텐츠가 없음. 301 ~ 307 - 리다이렉션 301: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에 대한 URI가 영구적으로 변경되었을 때 사용함. 302: 301과 같으나 임시적으로 주소가 바뀌었을 경우 사용함. 304: 이전에 방문했을 때의 요청 결과와 다르지 않을 경우 사용함. 캐시된 페이지를 그대로 사용. 307: 임시 페이지로 리
36일차 - 응답코드
200 OK(요청성공) 301 이름이 바뀌거나, 경로가 바뀌어서 찾을 수 없다 400 클라이언트 에러 401 인증X 200 OK(요청성공) 403 접근권한 없음 404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다. 405 허용되지 않은 메소드 **[page

Http 응답코드 정리하기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 Status Code Registry 를 참고하고 작성하였습니다. HTTP 응답코드 >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 요청에 대한 서버의 응답 코드 입니다. 1XX(조건부 응답 Informational) - 요청을 받고, 프로세스는 진행중 2XX(성공 Success)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고 인식되어 수행됨 3XX(리다이렉션 Redirection) -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 4XX(클라이언트 오류)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는 상태 5XX(서버 오류)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 실패 ✔ 1XX (Informational: 조건부 응답) > ##### 100번대 코드는 프로토콜을

etc - HTTP 응답 상태 코드
목차 > 1. HTTP 상태 코드란? > 2. HTTP 상태 코드 > 3. 마치며 개발을 하다보면 많이 접하게 되는 것이 바로 HTTP 상태 코드입니다. 협업을 하게 되면 이에 대해 잘 정리하고 가는 것 또한 중요하기에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1. HTTP 상태 코드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상호 간의 정의한 규칙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방식입니다. > w3 : 웹 표준과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조직입니다. HTTP 상태 코드는 위 규칙에 의거하여 정해 놓은 규칙들을 말합니다. |번호대|규칙|설명| |:---:|:---:|:---:| |1XX|정보|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합니다.| |2XX|성공|요청을 성공적으로 처

포트폴리오 4주 만에 준비하기👩🏻💻<네번째> API 설계하기
☕️ API 란? == 약속 API 란 쉽게 설명하면 클라이언트와 백엔드 간의 약속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예를 들어서 카페에 가서 고객(클라이언트)이 '아메리카노 주세요!' 라고 하면 점원이 ☕️ 짜-안 하고 아메리카노를 만들어서(서버에서 처리) 고객에게 준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가 API 서버에게 'https://velog.io/@vonvoyage27/%ED%8F%AC%ED%8A%B8%ED%8F%B4%EB%A6%AC%EC%98%A4-4%EC%A3%BC-%EB%A7%8C%EC%97%90-%EC%A4%80%EB%B9%84%ED%95%98%EA%B8%B0%EB%84%A4%EB%B2%88%EC%A7%B8-API-%EC%84%A4%EA%B3%84%ED%95%98%EA%B8%B0' 이 주소로 요청하면('아메리카도 주세요!'와 같이) 지금 보이는 이 페이지에 필요한 정보를 반환해준다.('아메리카노'가 짜-잔하고 나오는 것과 같이) ![](https://images.velo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