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1일차
byte와 short는 요즘에는 안 쓰는 작은 변수이다 boolean은 1byte true or false로 저장 int는 4byte를 저장 (정수 기본형) long릉 8byte를 저장 double은 8byte (실수 기본형) 문자 cha는 2byte float와 double은 실수를 표현할 수 있지만 부정확하다 숫자는 첫번째로 들어갈 수 없다 Java에서 "_"는 사용하지 않는다고 봐도 좋다. 변수는 한글도 가능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변수에 대입되는 값 자체를 리터럴이라고 한다. ("="의 오른쪽에 오는 값들) L, f, ''와 같은 표기들은 변수에 저장할 때 자료형에 맞게 인식하기 위해 사용하는 용도일 뿐이다 초기화란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쓰고 띄어쓰기는 언더스코어로 표기한다 스캐너를 쓰기 위해선 import를 써서 가져온 후 쓴다
Clock
intervals 매번 일어나야하는 무언가 setInterval 두가지 argument를 받음 실행하고자 하는 function, function간격을 몇 ms로 할지 sayHello 기능을 매 5초마다 실행 5초 지날때마다 console에서 Hello가 뜸 Timeout 바로 실행하는걸 원하지 않을때 사용 setTimeout 두가지 argument를 받음 실행하고자 하는 function, 실행까지 얼마나 기다릴지 ms단위 5초 후에 console창에 Hello가 뜸 Date javascript가 이
이산수학 Discrete math.
이산수학이란? > 불연속적인 수학을 말한다. 컴퓨터에 있어서 가장 베이스가 되는 수학으로, 알고 있으면, 알고리즘, 귀납법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므로, 꼭 알면 좋은 내용이다. 명제란? > 항상 참 혹은 거짓으로 나타나는 것. 연산자의 6종류란? > 1. Not / ¬ / ex) ¬p > 2. And(논리곱)/ ∧ / ex) (p∧g) > 3. or(논리합) / ∨ / ex) (p∨g) > 4. 베타적 명제(Exclusive or) / (+) / ex) p(+)g 의 뜻은 한개가 참이면 T > 5. Implication(함축적) , 합축과 조건명제는 = / → / ex) q → g > 6. Biconditional(쌍방조건명제) / ↔ / ex) q ↔ g 서로가 서로를 가르킬 때, 두 값이 일치할때만 T 합성명제( Compound Proposition )란? > 연산자와 여러개의 명제를 합친 것이 합성명제라고 한다. 조건명제 ( Condi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