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dex()

6개의 포스트
post-thumbnail

02.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최근 10년간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보려고 한다. 님의 유튜브 강좌를 기반으로 한 내용이다 강의 시점에는 2011-2020을 비교했지만, 나는 2012-2021로 비교해보았다. 데이터 준비 ① 구글에 '출생아 수 합계출산율' 검색 → 여기에 들어가보니 우리에게 필요한 10년치 데이터가 딱 나옴 → 그대로 다운로드 ![](https://velog.velcdn.com/images/simon919/post/2dda1ef3-d306-44e3-ac79-aa12ce8a66f9/image.pn

2023년 1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12. 데이터 수정

데이터를 다루다보면, 불필요한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등의 수정 작업이 필요할 때가 있다. 데이터 준비 (이전과 동일) Coulmn 수정 .replace() : 특정 데이터를 원하는 데이터로 바꿔줌. (딕셔너리 형태로 입력!) .str.lower() : 입력된 문자열을 소문자로 바꿔줌 (전에 했던 내용^^) .str.upper() : 입력된 문자열을 대문자로 바꿔줌 ![](https://velog.velcdn.com/images/s

2023년 1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5. 데이터 확인

실제 데이터는 훨씬 방대해서 한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러니 구체적인 정보들을 요약해서 확인할 줄 알아야 한다. 데이터 준비 (이전 차시에 저장했던 파일 활용) DataFrame 확인 .describe() : 계산 가능한 데이터에 대해 Column 별로 요약통계치를 보여줌. .info() : Column 별로 데이터의 기본 정보들을 보여줌.

2023년 1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03. Index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주소값 데이터 준비 (이전과 동일) Index 제목 설정 .index : 인덱스 값들을 호출함. .index.name : 인덱스의 제목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음. ![](https://velog.velcdn.com/images/simon919/post/3373c681-399d-4518-bea6-892d12e8

2023년 1월 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백준][Python] 18870

백준 18870번 문제를 푸는데 시간 초과가 계속 발생해서 단순히 for문의 반복 횟수 때문인 줄로만 알았는데, 아니었다. 처음 나의 풀이는 아래 코드와 같았다. 처음에는 단순히 dictionary에 값을 넣고 한 번 더 조회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였나? 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dictionary의 경우 시간복잡도는 O(1)임을 놓쳤기 때문에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문제는 list.index()에서 발생한 거였다. list.index()의 경우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index로 조회하는 것이 아니라, key를 통해 value를 조회해야했다(dictionary). 아래는 이를 이용해 시간초과를 해결한 코드이다. 앞으로 값 조회를 할 때 시간 복잡도를 고려하여 코드

2022년 11월 2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Web Site Clone Coding2 (학습 58일차 TIL)

210903 오늘은 어제와 마찬가지로 web site 예제를 클론 코딩하는 시간을 가졌다. Must Remember .index() method는 내가 클릭한 element가 몇 번 째인지 알아낼 때 사용하면 유용하다. transform: rotate(deg); X,Y,Z 기준점에 따라 달라지는 방향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자.

2021년 9월 3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