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하지 못한 로직이 동작하지 않게 예외처리 진행3가지 조건처리문을 활용한다.require()조건 체크가 한줄로 간단할 경우exception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경우함수 arguments 체크시에 많이 사용됨assert()조건 체크가 한줄로 간단할 경우exceop
javascript 사용시 solc 버전은 solidity extension (vscode 사용 가정)을 사용하면 되지만,go 언어로 테스트코드를 작성할때, solc는 os의 지정된 solc 버전을 사용하기에 npm이 아닌 brew를 사용해서 mac 자체에 solc 버
Go 언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을 고유의 방식으로 지원한다. 타 언어의 OOP의 클래스가 필드와 메서드를 함께 갖는 것과 달리 Go 언어에서는 struct가 필드만을 가지며, 메서드는 별도로 분리되어 정의된다.(function x)쉽게말해 메서드는 구조체 전용
Go에서 struct는 Custom Data Type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데, Go의 struct는 필드들의 집합체이며 필드들의 컨테이너이다. Go에서 struct는 필드 데이타만을 가지며, (행위를 표현하는) 메서드를 갖지 않는다.Go 언어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
이 글은 http://golang.site/ 를 기반으로 작성된다. Go는 패키지(Package)를 통해 코드의 모듈화, 코드의 재사용 기능을 제공한다. Go는 패키지를 사용해서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를 작성하고, 이러한 작은 패키지들을 활용해서 프로그램을 작성
기본적으로 키-값(key-value) 저장소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이용함수를 호출한 eoa(계정주소) 혹은 ca(컨트랙트 주소) require(조건) 형식으로 사용하고 '조건'이 참이 아니라면 함수는 에러메시지를 발생하고 실행을 멈춤BabyDoge 컨트랙트는
solidity에서 함수는 기본적으로 public으로 선언됨. 다만 함수는 기본적으로 private로 선언하고 공개할 수 있는 함수만 public으로 선언할 것.view함수가 데이터를 보기만하고 변경하지 않을 때 사용pure함수가 앱에서 어떤 데이터도 접근하지 않을 때
솔리티디는 코드작성 시 제일 상단 선언부에 라이센스와 언어의 버전을 설정해야 한다.솔리디티의 컨트랙트는 자바의 클래스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하나의 코드 파일에는 하나의 컨트랙트만 선언한다.uint : 부호가 없는 정수형 (음수 x) -> uint8, uint16,ui
solidity = contract 기반 language여기서 말하는 contract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smart contract를 말하는 것.Smart Contract계약의 이행을 자동으로 해주는 코드 ex) 어떤 물건을 코인을 받고 보내주기로 했을 때
이더리움은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이다. 전세계의 수많은 작은 컴퓨터로 구성된 하나의 큰 컴퓨터로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글로벌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이 플랫폼은 중단 시간, 검열, 사기 또는 제 3자의 간섭없이 항상 실
② 같은 타입을 가지는 변수를 여러 개 선언 ③ 여러 변수에 한 번에 값을 초기화 : 선언과 동시에 값을 초기화하면 타입을 명시할 필요가 없음 ④ := 를 쓰면 var,const와 타입을 쓰지않고 선언과 동시에 값을 초기화(함수 안에서만 가능) err
1\. Transaction 생성 단계특정 주소 A가 B에게 송금한다고 가정 1) 이때 A의 private key로 해당 Transaction을 암호화 (Sign : 전자서명) 2) B는 A의 public key로 해당 Transacion을 해독 만약 해독이 되지 않
지금까지 블록체인의 기본 이론, 구조와 종류를 공부했고 이번 글에서는 해시함수와 함께 블록체인의 핵심 알고리즘이라 불리는 '합의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하고 블록체인의 종류마다 어떤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 학습한다.우선 합의 알고리즘이란 이름 그대로 블록체인의 참여자
블록체인은 크게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 이 두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그 기준은 블록체인의 참여제한이다.퍼블릭 블록체인은 제한없이 누구나 참여가능한 공공의(public) 블록체인이고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반대로 제한된(허가받은) 참여자만이 참여할 수 있는 폐쇄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인 MD와 SHA 중 SHA-2 계열에 속하는 알고리즘이며 현재 블록체인에서 가장 많이 채택해 사용되고 있는 암호 방식. 256비트로 구성되며 64자리 문자열을 반환하는데 쉽게 말해 어떤 길이의 값을 입력
블록체인 개발을 공부하기 앞서 반드시 알아야 할 것 중 하나인 해시함수.해시함수의 간단한 정의는 "어떤 길이의 데이터를 입력해도 정해진 길이의 결과를 내는 함수"이다. 이 그림은 해시함수를 '깔때기'에 비유한 그림인데 아주 적절한 비유이다. 그 이유를 수학적 정의와 함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쉽게 말해 블록(관리하는 데이터)을 P2P 방식을 기반으로 체인처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데이터 저장 환경을 만드는데 이러한 환경을 블록체인이라 명명한 것.이런 형태를 우리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이라고도 하는데 이 환경에서 저장된
블록체인에서 실행되고 public key&private key를 저장하며 해당 키와 관련된 모든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고 유지하는 소프트웨어즉, 블록체인 ID(=지갑주소)를 발급하며 해당 ID와 관련된 모든 거래를 추적하는 App이며이는 곧 블록체인에 접속하는 프로그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