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표준

우리나라에는 많은 브라우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써 어떠한 웹 페이지를 개발했는데 그 페이지가 브라우저마다 다르게 보인다면 꽤 이상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표준화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을 웹 표준이라고 부릅니다. 즉, 웹 표준이란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합니다.

📗 W3C

W3C는 웹 기술의 표준을 정의하는 공식 기관이다.
W3C의 표준안에는 HTML, CSS Javascript 등에 대한 규정이 있다.
⛓️ https://www.w3.org/standards
위 링크를 참고해 웹 표준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작성한다.


✏️ 웹 표준의 장점

  • 수정 및 운영관리 용이 : 올바른 구조화로 CSS 시각표현을 통일하게 하여 관리용이
  • 접근성 향상 : 웹 표준을 이용해 작성한 문서는 다양한 브라우징 환경에 대응이 가능하며 휴대폰, PDA에서도 정상적인 작동 및 장애인 지원용 프로그램에도 도움이 되므로 사용자나 접속 장치의 접근성이 용이
  • 검색엔진 최적화(SEO) : 구조화된 웹페이지는 검색 로봇 수집을 통해 검색엔진에 효율적으로 노출 될 수 있도록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를 최적화
  • File Size 축소, 서버 저장 공간 절약 : 효율적인 소스 작성은 파일 사이즈와 서버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시에 화면표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 효율적인 마크업 : CSS와 HTML문서를 분리하여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마크업이 최소화되어 페이지 로딩 속도 향상
  • 호환성 가능 : 기존 IE브라우저에서만 작동이 가능했던 요소들이 웹 표준을 준수함으로써 다양한 브라우저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페라 등)에서도 작동

✏️ 웹 표준 기술

1. XHTML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2. CSS (Cascading Style Sheets)

3.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4. DOM(Document Object Model)

5. ECMAScript




📌 웹 접근성

누구에게나 동등한 기회 제공을 위해서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웹 접근성을 웹 표준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 웹 브라우징에 쓰이는 보조과학기술

  1. 스크린 리더 스프트웨어
  2. 화면 확대 도구
  3. 음성 인식
  4. 키보드 오버레이

이러한 웹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헤 W3C 참고하여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아래 사이트에서 웹 표준 정도를 검사할 수 있다.
⛓️ https://validator.w3.org/


✏️ 웹 접근성 가이드

  • 대체 텍스트 : 눈으로 화면을 볼 수 없는 경우,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대체 텍스트로 입력하여 스크린리더를 통해 정보를 인식하게 도와줍니다.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합니다
  • 자막 제공 : 음성을 귀로 듣지 못할 경우, 시각을 이용해서 내용을 이해하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대본 또는 수화를 제공해야 합니다.


📌 웹 호환성

웹 호환성 또한 웹 표준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표준 웹 기술을 사용하여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을 개발해야 합니다. 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화면이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은 웹 표준과 웹 접근성, 웹 호환성 대해 알아봤는데, 앞으로 웹 페이지를 제작할 때는 모든 사람의 환경을 고려해서 모두가 잘 사용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도록 노력해야한다!

✔️ 참고 사이트
http://www.smartebiz.kr/new/subpage02_02.html
http://www.wa.or.kr/m1/sub1.asp
https://accessibility.naver.com/accessibility

profile
효율을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